경북도농업기술원이 지역에 맞는 특화작목 발굴·육성을 위해 추진하는 `지역특화시범사업`이 농업 현장의 문제해결과 사업화 등을 통한 소득 증대로 농업인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지역특화시범사업은 지역 특성에 맞는 작목과 새로운 기술을 접목해 사업화하는 공모사업으로 지난 2010년 처음 시행해 120개소 사업을 추진했으며 시·군 특화작목을 육성하는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다.    경북도농업기술원은 올해도 13개소의 지역특화시범사업 추진으로 지역특화 작목 육성과 새 소득원 창출을 통해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 있다.  포항시는 `다솜쌀 재배단지 조성사업`으로 경북도 육성 벼 품종인 `다솜쌀` 재배단지를 150ha 조성하고 수출용 쌀 밥맛을 유지하기 위한 저장시설을 구축해 두바이에 100t을 수출했다.    영양군의 `여름딸기 스마트팜 고설재배 사업`은 260평 비가림하우스에서 지난 8월에서 10월 말까지 여름딸기를 생산해 kg당 2만5000원~4만원에 판매, 새로운 소득원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또 한우 축산 농가가 많은 경주시에서는 `사료작물 고품질 혼합건초 생산 기반 구축 시범사업`으로 수입 건초의 영양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료용 옥수수와 이탈리안라이그라스로 만든 혼합건초를 생산, 지역 번식우 농가에 보급하고 있다.  조영숙 원장은 "지역특화시범사업은 농업 현장의 니즈(Needs)를 발 빠르게 시범 적용함으로써 사업효과가 매우 뛰어나다"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경북 농업·농촌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사업화를 통해 농업의 활로를 개척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농업기술원은 올해 긴 장마에 대비해 복숭아 탄저병 발생 최소화를 위한 `조생종 복숭아 조기 수확 모델 구축 사업`으로 안정적인 생산 방안을 제시하고 특색 있는 특화작목 육성을 위한 `홉 재배 특화단지 조성사업` 등 12개 사업 추진으로 지역농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