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첨단 모빌리티 서비스 도입 등 미래모빌리티도시 조성을 위해 올해 처음으로 추진되는 국토교통부 `모빌리티 특화도시` 공모에 지난 13일 최종 선정됐다.
대구시는 국토부가 주관하는 `2023년 모빌리티 특화도시 조성` 사업 공모(모빌리티혁신 지원형)에 최종 선정돼 `대구형 모빌리티 특화도시 조성`에 오는 2024년부터 2025년까지 2년간 국비 지원을 받게 됐다.
이번 사업은 국토부가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수요응답형 서비스 등 미래 모빌리티 적용을 위한 혁신거점을 조성하고 모빌리티 혁신 산업 생태계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기획됐다.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대구시를 주관으로 지역 모빌리티 서비스 전문기관인 대구교통공사와 지역기업 등을 사업수행자로 해 컨소시엄을 구성, 지역 여건에 특화된 미래모빌리티로 전환을 준비해 왔다.
이번 사업은 대구형 통합교통서비스플랫폼(MaaS)을 기반으로 대구시 5대 신산업인 미래모빌리티 자율주행과 이용자 맞춤 이동수단 제공 및 이동 목적과 연계한 라이프 서비스 제공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시민 이동편익 증진 및 모빌리티로 시민의 삶이 자유로운 도시를 비전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구교통공사·기업 컨소시엄과 협업해 △자율주행셔틀 DRT(서대구KTX역~죽전역) △로봇물류배송(역사 및 전통시장 인근 짐캐리) △스마트모빌리티 허브센터(모빌리티환승통합연계) △MaaS 빅데이터 플랫폼 △대중교통 마일리지(지역화폐형 지역경제 활성화) △대구형 DRT(요일·시간별 통행수요, 통행목적 대응) △통행목적 연계 부가서비스(전자책, OTT, 음악, 쇼핑, 여가, 학원 등 할인·예약) 등 미래모빌리티에 특화된 7대 과제를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시민 불편 지역 및 사업효과 최적지를 중심으로 우선 4대 권역을 선정하고 내년 상반기 시스템 및 인프라 구축 등 준비 과정을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7대 과제를 권역별 상황에 최적화해 적용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대구시는 지난 7월 산업부 `모빌리티 전기차 모터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에 이어 이번 `모빌리티 특화도시`로 선정됨에 따라 기존 산업과 연계한 실증·실용화를 통해 미래차 생산에서 서비스까지 미래모빌리티 산업 혁신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강두용 기자kwondrumkakao@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