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고금리, 고물가 등으로 20·30세대의 `빚` 문제가 점점 악화되고 있다.  은행 연체율이 높아지고 정책금융상품에 20·30세대가 몰려드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청년들의 빚에 대한 고민은 커질 수밖에 없다.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국내은행 신용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20대와 30대의 연체율은 각각 1.4%, 0.6%로 지난해 동기 대비 2배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20대의 경우 전체 신용대출 차주 수가 줄어드는 와중에도 신용대출을 받은 사람이 같은 기간 61만474명에서 69만1948명으로 13.3% 늘었다. 20대의 대출 잔액 비중(4.6%)은 작지만 점점 더 많은 사람이 돈을 빌리고 있는 셈이다.  반면 경제활동을 활발히 하는 30대부터 50대까지 신용대출 차주 수는 545만9669명에서 532만1537명으로 2.5% 감소했다.  홍 의원은 "저금리, 양적완화, 자산 가치 상승 황금기의 `이지머니`가 20·30세대를 저축하던 세대에서 빚내는 세대로 변화시켰다"며 "불안정한 소득 기반에 고금리, 고물가까지 맞물려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급전이 필요한 20·30세대에게 인기가 높은 인터넷은행 비상금 대출의 경우 상황은 더 심각하다.  비상금 대출의 대출한도는 50만~300만원으로 작지만 SGI서울보증의 보증을 담보로 직업과 소득이 없어도 비대면으로 간편히 대출을 받을 수 있다.  대신 금리는 최고 15.00%로 이자가 비싸다.  정무위 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인터넷은행 3사에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비상금 대출 연체액은 △카카오뱅크 175억원 △케이뱅크 13억원 △토스뱅크 12억원에 달했다. 연체액 중 20·30세대의 비중은 △카카오뱅크 71%(123억원) △케이뱅크 60%(7억8200만원) △토스뱅크 71%(8억5500만원)으로 60% 이상이었다. 이처럼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결국 1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지 못해 2금융권을 찾거나 아예 정부가 서민층을 위해 마련한 정책금융상품에 몰리는 20·30세대도 많은 상황이다.  지난 6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9년 말 대비 전체 저축은행 취약차주 대출규모가 32.5% 늘어난 가운데 20대와 30대 증가 폭은 51.6%로 다른 세대에 비해 훨씬 컸다.  또 서민금융진흥원이 정무위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취약차주인 저소득·저신용(연소득 3500만원 이하 또는 개인신용평점 하위 20%이면서 연소득 4500만원 이하) 근로자에게 보증부대출로 최대 2000만원을 빌려주는 `근로자 햇살론`의 지난해 대출잔액 3조8285억원 중 20·30세대의 비중은 54.1%(2조710억원)에 달했다. 이미 연소득 3500만원 이하의 19~34세 저소득 청년층을 대상으로 3.6~4.5% 금리로 최대 1200만원을 빌려주는 `햇살론 유스`가 별도로 존재하는데도 근로자 햇살론에도 20·30세대가 몰린 셈이다.  벼랑 끝에 몰린 청년 세대의 어려움을 덜어줘야 한다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정치권이 연일 지원책을 쏟아내지만 대부분 문제의 핵심에서 벗어난 임기응변책이다.  월세와 교통비, 대출 이자를 지원하고 부채를 탕감하는 등의 땜질식 사탕발림 정책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는커녕 도덕적 해이만 초래할 뿐이다. 미래 세대에게 필요한 것은 자립해서 스스로 빚을 갚아나갈 수 있도록 돕는 지속 가능한 대책이다.  고기를 나눠주기보다 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주고 그물을 건네주는 식의 발상을 해야 한다. 금융당국은 정책 서민금융 효율화 방안을 조속히 수립해 청년 등 취약차주 지원에 대한 실효성을 높이고 채무조정, 취업 등 연계 지원에 나서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