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21일부터 오는 24일까지 3박 4일간 실시하는 2023년 을지연습에 도내 300개 기관 3만5000명이 참여하고 23일 민방위 훈련에는 전 도민이 참여한다고 밝혔다.  을지연습은 지난 1968년 1월 21일 북한 무장공비 청와대 기습사건을 계기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주관하에 비정규전 상황을 상정해 그해 7월 도상연습으로 `태극연습`을 최초로 열었다. 이듬해인 1969년에 태극연습에서 `을지연습`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을지연습의 주목적은 전시 대비계획(충무계획)의 실효성을 검증 보완하고 공무원들의 전시전환 절차, 정부기능 유지, 국민생활안정 유지, 군사작전 지원에 도의 전시행정능력을 숙달하는 데 있다.  을지연습은 3부로 구분해 실시하는데 1·2부에는 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참가하고 3부는 통일부와 군부대 위주로 진행된다.  1부 위기관리연습은 국가 안보 위기 상황 발생을 가정해 연습 전 실시하는 전쟁이전 위기대응연습으로 도 대응반만 참가한다.  2부 연습은 국가비상사태 선포에 따라 전시전환 절차 및 충무기능 제 수행에 중점을 두고 국가 총력전 연습을 실시한다.  3부 연습은 통일부 자유화 통합본부 운영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번 을지연습은 북한 핵무기 사용징후 시 주민소산대책,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6개 시군을 제외한 16개 시군에서 민관군 통합테러대비 훈련계획을 실시한다.  특히 사이버 테러 대응은 도 정보통신과에서 직원 이메일 해킹대응 상황으로 준비했다.  한편 6년 만에 실시하는 민방위 훈련은 전 도민이 참가해 훈련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단을 활용해 홍보에 총력을 기울였다. 아울러 경북도는 전시전환 절차 단계 숙달 및 전시종합상황실 운영 숙달을 위해 예비역 장군으로 편성된 민간전문평가단을 선발해 운영할 계획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변화되는 신안보 위협 요소에 대한 대비도 중요하지만 지역 군부대인 50사단, 경북경찰청, 유관기관과 평소에 협업체계를 잘 구축해 위기상황 발생 시 제대로 작동돼 도민의 생명을 지키는 것이 최우선 책무"라고 강조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