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지역 식품업체를 대상으로 세계 식품시장의 한 축을 차지하는 할랄 식품시장을 오는 2028년까지 할랄 인증 업체 수를 5개 사에서 50개 사로 10배 늘리고 수출액도 7110만달러에서 2억달러로 3배 늘린다는 목표로 `할랄식품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세계 할랄 식품시장 규모는 지난 2021년 1조9000억달러로 세계 식품시장의 26%를 차지하며 해마다 10% 정도 성장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세계 식품시장이 연평균 2~3% 성장하는 것과 비교하면 높은 수치다.
할랄 시장의 높은 성장률은 무슬림 인구의 증가 때문으로 지난해 무슬림 인구는 전 세계인구의 24.7%인 19억 6132만명이고 무슬림의 평균 출산율은 세계 평균 출산율 2.4명보다 높은 2.9명으로 오는 2060년에는 30억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22년 대구 식품의 수출액은 전년 대비 13.6% 증가한 7110만달러로 높은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전체 대구 식품산업 매출에서 3% 정도로 낮아 내수 위주의 식품산업 구조를 보이고 있다.
대구 식품의 주요 수출국은 중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 국가로 전체 수출액의 55.3%인 3930만달러이고 이중 동남아 수출액은 1050만달러로 대부분 비할랄 제품으로 수출하고 있다.
대구시는 △식품업계와 학계, 할랄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대구식품 육성을 위한 동남아 수출 협의회`를 구성 △할랄 시장 유통망 구축을 위해 9월에 열리는 대구 국제 식품산업전 기간에 아시아, 태평양 한국식품 수입업체 단체인 `코피아(KOFIA) 협의회`와 MOU도 체결하는 등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대비한 여건 조성에 힘쓴다.
오는 2028년까지 5년간 50억원이 투입되는 `할랄식품 활성화 사업`은 할랄시장 진출을 희망하지만 자본과 기술, 정보가 부족해 어려움 겪는 지역 식품기업을 대상으로 △할랄시장 진출에 필수적인 할랄 인증 비용을 해마다 5000만원 지원해 현재 5개인 할랄 인증 업체 수를 2028년에는 50개 사로 10배 늘릴 계획이다.
또 △무슬림 국가별 맞춤형 할랄식품 개발 △할랄식품 시장동향 및 정보제공 △구매력 높은 바이어 초청 상담회 개최 △말레이시아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할랄 박람회인 미하스(MIHAS)에 D-푸드 홍보를 위한 대구 공동관 참가 등 4개 사업에 7억3000만원을 투입해 대구 식품이 동남아 할랄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현재 7110만달러인 대구식품 수출액을 오는 2028년까지 2억달러로 181% 성장시키고 대구 식품산업 구조도 내수 위주에서 수출 중심으로 대전환한다는 계획이다.
강두용 기자kwondrumkakao@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