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감염력이 떨어지면서 여가 활동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운동이나 생활을 하는 과정에는 건강한 체력관리가 중요하다.
요즘은 야외에서 운동하는 골프나 테니스 등 무리하게 팔을 사용하면서 팔꿈치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초기는 단순 염증으로 생각했으나 재발이 쉽고 치료기간이 오래 필요하면서 퇴행성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
팔꿈치 통증의 가장 흔한 질환으로 팔꿈치의 바깥쪽 통증을 `테니스 엘보`, 내측의 경우는 `골프 엘보`라 칭한다.
팔은 어깨에서 상완골이 있고 팔꿈치에서 요골과 척골이 이어지면서 손목관절로 연결된다.
팔꿈치는 내측 측부인대와 외측 측부인대로 연결돼 원활하게 힘의 전달이 이뤄진다.
운동선수와 화가, 목수, 요리사, PC 장기사용자, 주부 등 팔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에게 호발한다.
테니스 엘보는 바깥쪽 즉 `상완골외측상과염`이라고도 하는데 한번 염증이 오면서 인대가 늘어지면 오랜 시간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골프 엘보는 내측 즉 `상완골내측상과염`이라고도 하는데 원인과 치료 거의 동일하다.
간혹 목디스크나 신경포착병증으로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엘보를 아파본 사람은 정말 스트레스가 심하다. 처음에는 파스를 바르고 아대를 착용하기도 하는데 통증이 쉽게 사라지지 않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많아 사람을 무기력하게 만든다.
치료가 됐다고 다시 활동하면 재발돼 꾀병처럼 삶의 의욕을 상실하게 한다. 휴식과 스트레칭 그리고 꾸준한 근육운동으로 염증을 없애고 인대와 근육의 힘을 회복시켜야 한다.
치료는 보통 4주 이상에서 12주 정도 필요하다. 침 치료와 약침, 봉침 그리고 한방 물리요법과 한약 복용 등 체계적인 치료 과정을 준수하는 것이 좋다.
바깥 팔꿈치혈인 곡지혈(曲池穴)에 침을 놓고 전침을 시술하고 가끔 뜸치료를 하기도 한다. 곡지혈 3센티 정도 아래에 수삼리(手三里)혈을 자주 마사지하거나 팔꿈치 안쪽 겨드랑이 쪽 오훼완근(Coracobrachialis Muscle) 마사지도 겸하는 것이 좋다.
속단, 모과, 갈근 등을 차로 달여 꾸준히 복용하거나 갈근탕(葛根湯)이나 이출탕(二朮湯) 등을 복용하기도 한다.
예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 번에 무리하게 팔을 사용하지 않는다.
둘째, 팔꿈치에 충격이 심하게 생겼다면 초기에 냉찜질해 근육을 푼다.
셋째, 50분 작업 후에 10분 휴식하면서 스트레칭을 자주 한다.
넷째, 운동의 정확한 방법과 자세를 숙지해 응용한다.
다섯째, 과로하는 생활을 피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