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농업기술원은 8일 경북 북부지역 고추 주산지 영양, 안동, 봉화, 예천, 청송, 의성 등 6개 지역 140농가를 대상으로 이달 초 생육후기 작황을 조사한 결과 탄저병 발병률이 크게 증가해 수확이 끝날 때까지 철저한 관리를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달 상순 탄저병 피해과율은 6%로 전년도 피해과율 0.1%, 평년 피해과율 0.3%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는 올해 고온다습한 환경의 영향으로 판단되며 특히 지난 6월~7월 강수량이 693.1mm로 많은 비가 내려 탄저병 확산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약제 살포 전 탄저병 과실을 제거하고 제거한 피해과는 반드시 폐기해야 한다. 이후 등록약제를 안전사용지침에 따라 7일~10일 간격으로 연속 살포해야 한다.  특히 피해과가 보일 경우 탄저병 치료용 살균제를 함께 사용해 추가 확산을 막아야 한다.  한편 탄저병과 담배나방은 발생시기가 비슷해 동시방제가 중요하며 이달 하순까지 두 가지 약제를 열매 표면에 살포하고 작물보호제 혼용가부표를 참고해 안전하게 방제해야 한다.  조영숙 원장은 "올해는 많은 강우로 인해 탄저병 피해가 크게 우려되는 만큼 탄저병의 추가 확산을 막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