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단오 날인 지난 3일 간부회의와 7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실국장을 비롯한 출자·출연기관장들이 한복을 입고 회의를 진행했다.
앞으로 정월대보름날·단오날·한글날·한복의 날(10월 21일), 확대간부회의 등 중요한 날에 착용할 방침이다.
경북은 훈민정음 해례본인 간송본과 상주본이 발견됐고 전통음식 3대 옛 요리책 수운잡방, 음식디미방, 온주법이 저술됐으며 한옥마을인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고장이다.
또 한복 주요소재인 상주의 명주(국내 총생산량의 95%), 영주의 인견(국내 총생산량의 85%), 안동의 삼베(국내 총생산량의 80%) 등의 전통섬유산업의 기반을 보유하고 있다.
도는 이를 기반으로 하는 K-컬처(한글, 한식, 한옥, 한복) 종주 지역으로서 한복산업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한국한복진흥원(상주 함창)을 통해 한복문화주간, 한복문화 지역거점 지원 사업, 전통복식산업 활성화 지원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올해 상반기 문화체육관광부의 한복관련 공모사업에 2개 사업이 선정되는 성과도 올렸다.
먼저 2022년 지역 한복문화 창작소 조성 사업을 통해 상주상의원이라는 경북형 한복문화 창작소를 조성하고 도내 초중고 50여개 학교에서 한복문화 교육을 운영할 계획이다. 다음 2022 패션디자이너 역량강화 지원 사업(국비 1억4000만원)을 통해 한복 전통패션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新 한복쟁이 발굴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도는 향후에도 `일상 한복 세계화 선도 프로젝트`를 통해 4차 산업혁명시대의 메타버스 기술을 이용해 전 세계에 가상 한복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하회마을 등 한옥마을과 연계한 한복거리 구축, K팝, K드라마, K영화에 한복의상 협찬으로 한복대중화와 세계화를 도모하는 등 대한민국 한복 문화산업의 성장 동력을 이끌어가겠다는 구상이다.
이철우 지사는 "한복이 갖고 있는 품격과 아름다움에 전 세계가 감동할 수 있도록 각종 회의나 행사 때마다 한복을 즐겨 입겠다"며 "한복이 명실상부한 신 한류 핵심콘텐츠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경북이 그 중심에서 선도적으로 나서겠다"고 거듭 밝혔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