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여년 전, 3월의 어느 날 뉴스에서는 대한민국 국민들을 충격에 빠뜨린 소식이 속보로 전해졌다.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서남방 2.5km 해상에서 경계 임무수행중이던 해군 제2함대사 소속 천안함(POC-722)이 북한 잠수정의 기습 어뢰공격으로 침몰했다는, 일명 천안함 피격사건에 대한 소식이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승조원 46명이 뜨거운 피를 흘리며 전사했다.  이 외에도 서해에서는 2002년 6월 29일 오전 10시 25분 무렵 서해 북방한계선(NLL)남쪽 3마일, 연평도 서쪽 14마일 해상에서 북한의 공격에 대항한 끝에 6명이 목숨을 잃고 19명이 다치는 희생으로 우리 영해를 지켜내었던 `제2연평해전`이 있었고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4분부터 북한군이 무려 대한민국의 영토에 직접적으로 170여발의 포격을 가했던 사건인 `연평도 포격 사건`이 있었다.  심지어 연평도 포격 사건은 천안함 피격 사건 후 불과 8개월만에 일어난 데다 민간을 향한 포격이었기 때문에 국민에게 더 충격을 안겼다. 이 사건으로 인해 휴가를 위해 출발했다가 북한의 포격에 대응하기 위해 복귀하던 우리 해병대 장병 2명이 목숨을 희생했다.  `서해수호의 날`은 이와 같이 서해를 수호하기 위해 목숨을 희생한 우리 장병 55인을 추모하고 국민의 안보의식을 제고하기 위해 지정된 날에 붙여진 이름이다. 서해수호의 날은 북한 도발에 맞서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서해수호 55용사를 추모하기 위해 2011년부터 국가보훈처가 주관해 정부 행사로 진행되다가 2016년부터 매년 3월 네 번째 금요일이 법정 기념일로 지정됐다.  3월 넷째 금요일을 지정한 이유는 서해 도발로 인한 사건들 중 가장 큰 희생을 치렀던 천안함 피격 사건일이 3월 26일 금요일이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서해수호의 날을 매년 잊지 말고 기억해야 한다. 누구나 각자의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인해 힘든 일을 겪으며 살아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번씩은 얼굴에 웃음을 담기도 하고 매순간 생존에 대해 걱정하지 않는 삶을 살아갈 수 있다. 이는 과거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던 어떠한 순간에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던 곳에서 누군가가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을 겪으며 국가와 국민을 위해 치열하게 싸워주었기 때문이다.  우리가 누리고 있는 현재의 평화는 그들의 희생된 목숨으로 마련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희생에 대한 보답은 그 무엇으로도 완전히 이뤄질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니 대한민국은 그들을 기억해야 한다.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진 사태로 인해 전 세계가 또다른 큰 전쟁의 위험을 생각하며 긴장하고 있는 지금, 대한민국에서는 제7회 서해수호의 날을 맞이해 안보 의식을 다시 한번 되새기며 우리의 평화와 안전을 위해 굳게 버티고 선 국군과 호국영령에 대한 감사한 마음을 떠올려 볼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