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1일 실시되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70여일 앞두고 지자체 시장을 비롯해 시·도의원 출마 예상자들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면서 출마자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후보자는 예비후보를 등록을 마치고 본격 선거운동에 나서 선거분위기를 끌어올리는 상황이다.  TK지역은 국민의힘 공천장이 곧 당선의 지름길이라는 비이상적인 상식이 통하는 곳이다.  2006년부터 지방선거 정당공천제가 실시됐다.  조만간 각 정당별로 공천을 하게 되는데 지역은 보수 색채가 짙어 선거 때마다 국민의 힘 당 공천 얻기가 본선 승리보다 더 어려운 실정이다.  이번에도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예비후보들 간 국민의 힘 공천을 위한 경합이 치열할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번 경북선거는 공천선거가 아닌 시민들의 선거가 되기를 바래본다.  도교육감은 정당 공천이 이뤄지지 않지만 도지사, 시장·군수, 도의원, 기초의원 선거의 경우 각 정당이 최선의 후보를 내세우기 위해 총력전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정당공천제로 인해 지역의제 발굴과 정책 공약대결등은 상대적으로 경시되는 선거풍토가 생긴 것 또한 주지의 사실이다.  이번 지방선거는 역대 선거와는 달리 대선으로 인해 출발이 늦어져 정당 공천 과정에 허점이 많을 것으로 우려된다.  따라서 국민의힘은 철저한 공천 과정을 통해 부적격자 심사를 엄격히 해야 한다.  결격사유를 지닌 후보들이 주민들의 심판을 받으러 나오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검증에 검증을 거쳐야 할 것이다.  반면 이번 지방선거 공천확정이 지연될 수도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대선 공약으로 약속했던 `기초의원 중대선거구제 도입`을 3월 임시국회에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지방선거 선거구 획정을 포함한 선거법 개정이 늦어질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지방선거 때마다 예비후보들이 공천을 받기 위해 밀물처럼 밀려왔다가 공천이 확정되면 썰물러럼 빠져나가는 선거판으로는 결코 경북의 지방정치는 발전하지 못한다고 본다.  정당은 지방선거를 통해 누가 어떻게 경북발전을 일궈낼 것인가라는 확고한 기준을 세워야 한다.  각 정당은 앞으로 누구를 공천해야 할지 고심하고 선거에 출마를 준비하는 예비후보들은 공천여부를 떠나 시민들에게 출마의 당위성과 각오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그 의지를 민심을 잡는데 쏟아야 한다고 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