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기간인 지난 1일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1만80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현행 `6인·9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추가 연장될지 여부가 주목된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1만8343명으로 또 다시 역대 최다치를 갈아치웠다.  지난달 26일 처음으로 1만명을 넘어선 이후 일주일 연속 1만명선을 유지하고 있다.  위중증 환자 수는 나흘 연속 200명대로 4차 유행이 본격화되기 전인 지난해 7월 수준이다.  여기에는 우세종이 된 오미크론의 중증화율이 델타 변이 대비 낮은 수준이고 백신 3차 접종률이 전체 성인 인구의 60%를 넘어선 영향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오는 6일이면 `사적모임 6인`과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 밤 9시까지 영업 제한`을 골자로 하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종료된다.  이에 정부는 4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코로나19) 회의에서 7일부터 적용될 거리두기 조정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당초 정부는 거리두기 강화는 없다는 입장이었지만 설 연휴 기간 이동량 증가에 따라 방역상황이 변화하면 거리두기 강화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통상 추석이나 설 등 명절 연휴가 지나고 일주일쯤 지나면 확진자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방역 당국은 현재 이미 증가하고 있는 오미크론의 확산세가 `명절 이동 효과`로 폭증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다만 거리두기 조정안은 이동 효과에 따른 코로나19 확산세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전 발표되기 때문에 당장은 현행 거리두기가 연장될 가능성에 무게가 더 쏠린다.  거리두기를 더 강화할 경우 소상공인·자영업자에 대한 손실보상 등 지원책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점도 정부가 쉽게 강화 카드를 꺼낼 수 없는 이유 중 하나다.  지난해 9월 추석 연휴 당시 1700명대였던 일일 확진자 수는 연휴가 지난 지 며칠 되지 않아 3000명 안팎까지 치솟았다.  당시 정부는 `수도권 4단계·비수도권 3단계`였던 거리두기 단계를 2주 연장하기로 결정했었다.  이번 설을 앞두고 정부는 이같은 선례를 고려해 이동 자제를 강조해왔다.  문재인 대통령은 설 연휴 기간 경남 양산행 일정도 취소하고 방역·의료 관계자와 통화하는 등 오미크론 대응에 집중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2일 오후 3시 김 총리 주재로 코로나19 중대본 회의를 열어 설 연휴 방역상황과 함께 동네 병·의원 중심 검사·치료체계 전환 준비 상황을 점검한다.  오는 3일부터 전국 동네 병·의원을 거점으로 코로나19 검사와 재택치료 관리가 시작 되는 만큼 방역체계 전환에 참여하겠다고 신청한 병원 수와 자가진단키트 배분 상황 등이 주요 논의대상이 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