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지역 활성화와 청년층 유출 방지를 위해 권역별로 지역자산을 활용한 생활경제권 중심의 내생적 성장 전략인 `경북형 생활경제권 중심 일자리 전략`을 도정 핵심전략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역의 잠재력을 극대화해 지역의 경쟁력과 고용 성과를 높이겠다는 전략으로 기존 자원 조정 형태의 전략과는 차별화된 지역과 대상별 특성을 반영한 사람 중심의 일자리 창출 방안이다.  `일자리 경북! 도민 행복!` 실현을 위한 `경북형 생활경제권 중심 일자리 전략`은 경북을 4개 생활경제권으로 구분해 올해부터 오는 2026년까지 5년간 16개 전략과제에 5000억원(국비 3500억원, 도비 1000억원, 시군비 500억원)을 투입해 3만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추진된다.  북부권은 농촌지역 고령화로 인한 생활경제권 유지와 농업 고도화, 식품·바이오 영역이 지역 경제와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 관광자원 활성화와 일자리 간 연계성을 고려한 `인구소멸 위기 극복 프로젝트`에 4개 전략과제를 추진한다.  남부권은 전략산업인 자동차부품산업이 지역 경제와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대학 밀집으로 인한 청년층 창업 생태계 구축 및 활성화의 최적지임을 반영해 `상생일자리&청년희망 프로젝트`에 4개 전략과제를 추진한다.  동부권은 포항 중심의 철강 및 소재분야, 이차전지(배터리)와 연계된 연관업종들이 지역 경제와 일자리 창출에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해 `안전한 일터&신성장 일자리 프로젝트`에 2개 전략과제를 추진한다.  서부권은 지난 2013년 이후 전자산업 중심으로 고용 이탈이 가속화되면서 `지역산업 위기→ 일자리 위기→ 청년유출→ 지역 위기`의 악순환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 악순환의 연결고리를 끊기 위해서 `산업 위기 R&D 일자리 극복 프로젝트`에 3개 전략과제를 추진한다.  경북도는 4개 생활경제권에 더해 지역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포용적 일자리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3개 전략과제로 △경력단절 여성, 고령자, 장애인 등 취업 취약계층 일자리의 급격한 감소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취업 취약계층을 위한 포용적 일자리 사업` △도내 중소기업이 중장년(40~64세) 신규 채용 시 1인당 월 100만원(1년간, 총 1200만원)을 지원하는 `중장년 중소기업 취업 지원 사업` △지역 거주 50세 이상 중장년 세대를 파트타임직으로 고용하는 지역 소상공인에게 1개월 기준 급여액의 40%를 지원하는 `신중년 파트타임 일자리 지원사업`을 추진해 일자리 취약계층과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지원할 방침이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