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대한 질병관리청의 수리모델링 결과 신규 확진자는 3월 말 최대 8만명에서 12만명까지 발생한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질병청은 출입기자단 온라인 백브리핑에서 지난 22일 수행한 질병청 수리모델링에서 오미크론 우세종 전환에 따라 확산 가능성을 예측했다.
오미크론 변이 전파력을 델타 변이 2.5배로 가정하면 1월 말에는 7000~8000명, 2월 중순에는 1만5000명에서 2만1000명대, 2월 말에는 3만2000명에서 5만2000명대로 발생할 전망이며 전파력을 3배로 가정하면 1월 말 8000명에서 1만명대, 2월 중순에는 2만7000명에서 3만7000명대, 3월에는 8만명에서 12만명까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 예측은 그 시점의 유행 상황과 사회적 거리두기 효과를 가정해 산출하며 이동량 증가나 계절적 요인,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 속도, 예방접종 효과, 방역정책 조정 등으로 변동 가능성 있다.
오미크론 대유행이 예고되자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대응체계 전국 확대와 준비를 빠르게 진행하라"며 "지금까지 논의하고 준비했니 잘 하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집무실로 복귀한 이후 첫 참모회의에서 이같이 지시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문 대통령은 "동네 병·의원 코로나19 검사·치료체계도 처음 시행하는 것이니 초기에는 부족한 점도 있을 것"이 라며 "의료계와 잘 협의해 대처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자가진단키트의 경우 초기에 단기간 지역별 수급 불안 가능성도 있으니 이 부분도 잘 챙기라"며 "학교 방역관리에도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방역당국은 60세 미만도 밀접접촉자면 고위험군에 해당해 유전자 증폭(PCR)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이날 밝혔다.
김갑정 중앙방역대책본부 진단총괄팀장은 이날 오후 출입기자단 백브리핑에서 PCR검사 우선 순위에서 밀접접촉 부분은 어떻게 반영되는지 관련한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앞서 당국은 고위험군 및 우선검사 필요군을 △역학 연관자 △의사소견서 보유자 △60세 이상 고령층 △자가검사키트 양성자 등으로 규정했고 오미크론 대응체계로 전환되면 이들만 PCR검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그런데 29일부터 2월 2일까지는 전국 선별진료소에서 PCR과 신속항원검사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서 기준에 혼선이 생긴 상태다.
검사전략이 전환되면 60세 이상자는 PCR검사가 우선순위 검사대상자다. 그렇더라도 1월 29일과 2월 2일까지는 본인이 신속항원검사를 받겠다고 하면 그것도 가능하다.
화이자의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 1만1000명분이 오는 30일 국내에 추가 도입된다. 누적 도입물량은 당초 1월 도입 물량 3만1000명분에서 1000명분 더 늘어난 3만2000명분이 될 예정이다.
앞서 국내로 도입된 팍스로비드 물량은 2만1000명분이다. 1만1000명분 추가로 누적 물량은 총 3만2000명분이다. 현재 정부가 선구매 계약을 완료한 먹는 치료제 물량은 총 100만4000명분(화이자사 76만2000명분, MSD사 24만2000명분)이다.
방역당국은 또 개학 후 코로나19 방역관리 방침에 대해 교육부와 논의를 진행 중이며 이번 주 내로 지침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처럼 오미크론 변이주로 인해 변화된 (방역) 상황에서 학교방역관리를 어떻게 체계적으로 할지에 대해 교육부와 논의 중에 있으며 확진자 발생 시 대처, 접촉자 관리, 감염 의심자 등을 어떻게 검사하고 조치할지 구체적으로 논의 중이다.
코로나19는 누구도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길이기 때문에 예측할 수 없지만 8000명대에서 하루만에 확진자가 1만3000명으로 가는 새로운 상황에 국민들이 받아들이는 충격과 걱정이 매우 크다.
확진자가 더 늘어나는 추세인데 거리두기 추가 강화조치 가능성에 대해 정부는 단순하게 과거처럼 확진자 수를 기준으로 숫자가 확 늘어나니까 거리두기를 강화하는 패턴의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