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안전 운임 일몰제 폐지 등을 요구하며 25일 0시부터 사흘간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대구·경북지역에서도 화물기사 2200여명이 파업에 동참했다.  화물연대 대구경북지역본부는 이날 오전 구미시청 앞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27일까지 파업을 벌이기로 했다.  화물연대 대구경북본부에 따르면 노조에 소속된 조합원 1300여명 가운데 약 40%가 남구미IC 입구, 아주스틸1공장 인근 구미 봉산2교 사거리, 코레일 철도CY 입구 등 3개 거점에서 파업 농성을 진행 중이다.  국내 최대 철강단지인 경북 포항에서도 화물연대의 총파업이 시작됐다.  화물연대 포항지역본부와 경주지부 조합원 1700여명은 이날 오전 포항 철강공단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갖고 파업에 들어갔다.  노조는 안전 운임 일몰제 폐지, 안전 운임 전 차종·전 품목 확대, 생존권 쟁취를 위한 운임 인상, 산재보험 전면 적용, 지입제 폐지, 노동기본권 쟁취 등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노조가 주요 요구안으로 내건 안전 운임제는 안전 운임보다 낮은 운임을 지급하는 경우 화주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로 3년 일몰제(2020∼2022년)로 도입됐다.  정부는 화주와 운수사업자들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이유로 화물연대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화물연대와 타협안을 찾는 동시에 물류대란을 막기 위한 비상수송에 나섰다.  포항지역 철강업체는 화물연대의 파업 장기화에 대비해 철도 운송을 확대하고 긴급자재 출하에 대해서는 경찰의 협조를 얻어 운송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와 경북의 경우 현재까지는 물류 수송에 큰 차질을 빚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화물연대는 27일에는 정부와 여당을 규탄하는 결의대회를 서울에서 열고 요구안 수용을 촉구할 계획이다.  화물연대 대구경북본부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경유가 인상을 포함한 원가비용의 급격한 인상으로 화물노동자의 생계 불안이 커지고 있다"며 "정부는 화물자동차 안전 운임제 일몰제 폐지 등을 통해 화물노동자에게 최소한의 생계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총파업 이후에도 정부가 요구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전면 투쟁에 돌입할 것으로 전해졌다.   장종찬 기자gst300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