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광주 민주화운동 관련 단체 등 11개 시민사회단체가 전두환씨 유족의 사과와 재산 환원을 촉구했다.
5·18민주화운동서울기념사업회 등 단체들은 25일 오전 전씨의 빈소가 있는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제라도 전두환 유족은 5공 피해자들에게 사죄하고 불의한 재산을 피해자와 대한민국에 환원하라"고 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아들을 보내서 몇 차례 5·18 영령 앞에 무릎 꿇고 사과한 노태우와 달리 5·18을 포함한 5공 피해당사자인 우리는 지난 41년간 그 어디에서도 전두환에게 사과 비슷한 것도 받아본 적이 없다"며 "우리가 받은 적이 없는 사과를 언제 어떻게 했다는 것이냐"고 했다.
이는 전씨 사망일인 지난 23일 최측근인 민정기 전 청와대 공보비서관이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전씨가 생전 여러차례 미안하다는 뜻을 밝혔다고 주장한 점을 반박한 것이다.
이들은 "전두환의 유족은 지금이라도 (노태우씨 아들인) 노재헌에게 배워 5공 피해자들과 국민들 앞에 무릎 꿇고 사죄하라"며 "신군부 잔당들에게 휘둘리지 말고 5공 피해자들을 일일이 찾아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기 바란다"고 했다.
또 "이제라도 국민들을 학살하고 탄압해 얻은 불의한 대가는 피해자와 국민들에게 돌아가야 한다"며 "40년간 차명으로 숨겨온 거대한 불의한 재산을 피해자들과 대한민국 앞에 내놓아야 한다"고 했다.
이어 "역사 앞에 사죄할 마지막 기회를 저버린다면 11개 시민단체를 포함한 우리는 촛불혁명과 180석 거대여당으로 국정을 개혁하라 밀어준 국민들의 여망을 안고있는 국회에 큰 목소리로 외칠 것"이라며 "당장 전두환 등 신군부의 부정 축재 환수특별법을 제정하라"고 했다.
성명에는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서울지부, 5·18민주화운동구속부상자회 서울지부, 삼청교육대 전국피해자연합회, 강제징집 및 녹화선도공작 진실규명추진위, 김사복추모사업회, 안병하기념사업회, 평화재향군인회, 국가공무직노조 등이 이름을 올렸다. 단체들은 유족 측에 성명서를 전달하려 했으나 불발됐다.
단체들은 회견에 앞서 연세대 정문 앞에 집결해 장례식장까지 행진했다. 회견 말미에는 5·18 추모곡인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