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어렵게 출제되면서 수시모집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수능최저)을 충족하지 못하는 학생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문·이과 구분 없이 시험을 치르는 `통합형 수능`이 처음 실시되면서 문과 학생들의 수능 최저 충족에 빨간불이 켜졌다.  교육계에 따르면 지난 18일 치러진 2022학년도 수능은 국어, 수학, 영어 모두 어렵게 출제됐다. 수학이 특히 어려웠다. 시험 직후 대부분 입시업체와 진학교사가 지난해 수능보다 수학이 어렵게 출제됐다고 분석했다.  입시업체들이 수험생들의 가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예측한 1등급 커트라인(1등급컷)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원점수 기준 1등급컷이 `확률과 통계` 85~89점, `미적분` 81~85점, `기하` 83~86점으로 예측됐다.    지난해 수능에서 이과생이 주로 응시하는 수학 가형과 문과생이 주로 응시하는 수학 나형의 1등급컷은 모두 92점이었다. 원점수는 시험이 어려울수록 내려간다. 국어도 1등급컷이 `화법과 작문` 82~85점, `언어와 매체` 82~84점으로 예측된다. 지난해는 1등급 컷이 88점이었다. 절대평가인 영어 역시 90점 이상 1등급 비율이 약 6%로 예측됐다.    지난해 12.7%는 물론 지난 2021학년도 수능 7.4%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6%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상대평가인 국어, 수학은 물론 절대평가인 영어도 어렵게 출제되면서 수시에서 수능최저를 충족하지 못한 수험생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시모집에서는 수능 국어·수학·영어·탐구 4개 영역 중 2개 혹은 3개 영역의 합산등급을 최저기준으로 반영한다. 특히 문과 학생들의 수능최저 충족에 비상이 걸렸다.  올해는 `통합형 수능`이 첫 적용되면서 수학도 문·이과 학생이 같은 문제를 풀고 성적도 통합해서 산출한다. 지난해까지는 가형과 나형 중 선택해 응시하고 성적도 따로 산출했기 때문에 문과 학생 중 약 4% 안에 들면 1등급을 받을 수 있었다.  올해는 문·이과 학생이 공통과목(수학Ⅰ·Ⅱ)을 같이 치른데다 어렵게 출제되면서 문과 학생이 높은 등급을 받기가 어려워졌다. 진학교사와 입시업체 분석을 종합하면 지난 6월과 9월 수능 모의평가에서는 수학 1등급의 90% 이상을 이과 학생이 가져갔다.  올해 수능은 어렵게 출제됐던 6·9월 모의평가와 비슷한 난도로 출제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에는 문·이과로 나눠 점수를 산출했기 때문에 1등급 비율이 정해져 있었으나 영어가 어렵게 출제된 상황에서 수학도 어렵게 출제되면서 수능 최저 미충족 비율은 이과에 비해 문과생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능 최저를 충족하지 못한 수험생이 늘면서 수시에서 충원하지 못해 정시로 넘겨서 충원하는 `수시 이월인원`도 증가할 가능성이 커졌다.    올해 수시에서 학생부교과전형 지원자가 4만6000여명 늘었는데 대부분 수능 최저가 있다. 수능 최저 충족 인원이 줄어들면 수시 이월인원도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수시 이월인원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서울 소재 대학은 올해 수시 경쟁률이 지난해보다 높아져서 정시로 이월되는 인원이 생각보다 많지 않을 수도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