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전 대통령이 23일 향년 90세를 일기로 사망한 가운데 그와 인연이 깊은 대구지역의 반응은 대체로 무덤덤하거나 싸늘하다.  전통적으로 보수정당의 지지세가 강한 TK(대구·경북)지역이지만 1980년 계엄군과 공수특전여단의 광주 투입, 5·18광주민주화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한 `원죄`에 대해 본인 입으로 사과조차 하지 않고 사망한 것에 대한 냉소적 반응이 주를 이뤘다.  전씨의 모교인 대구공고는 이날 오전 전씨가 사망한 사실이 알려졌음에도 학교 내에 조성된 `전두환 전 대통령 자료실`(전두환 기념관)을 개방하지 않기로 했다.  전두환 기념관은 2012년 5월 대구공고 총동문회가 7억원을 들여 개관했으나 군사 쿠데타를 주도한 인물을 미화한 반역사적 공간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비판이 거세지자 동문회 측은 같은해 7월 기념관을 학교와 관련된 역사관으로 축소해 사실상 폐쇄했다.  대구공고 관계자는 "기념관이 폐쇄된지 10년 가까이 됐다"며 "전두환 전 대통령이 사망했다고 해서 학교 차원에서 시민들에게 개방한다거나 하는 조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시민들은 전씨 사망 소식에 일단 놀라면서 그의 인생에 대해서는 대체로 냉소적 반응을 보였다.  정모씨(44)는 "5·18광주민주화운동과 관련해 사자명예훼손 혐의로 광주의 법원에 수차례 간 것으로 알고 있는데 사과조차 하지 않는 모습에 많은 국민이 실망했을 것"이라며 "죽음 자체는 슬픈 일이지만 애도의 마음은 전혀 들지 않는다"고 했다.  정당의 반응은 더 싸늘하다.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 측은 "전두환씨의 인생 전체는 `論評`(논평)의 의미처럼 따져서 평가할 가치가 없다. 나아가 죄 많은 한 시민의 죽음에 왈가왈부한다는 것 자체가 이상하다. 전씨 죽음은 그저 한사람의 당연한 삶의 마지막일 뿐"이라며 그의 사망에 의미를 두지 않았다.  정의당 대구시당은 논평을 통해 "생전 추징금 납부 등 법의 판결을 성실히 이행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숱한 막말로 5·18광주민주화운동을 폄훼해 피해자와 가족들에게 상처를 남겼다. 이런 전두환씨에게 애도는 과분하다"고 평가절했다.  이어 "정부는 전씨의 차명재산을 샅샅이 찾아내 추징금 징수를 성실히 이행해야 한다. 그럴 일이 없겠지만 정부는 국가장을 염두에 두지 마시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대구시당 측은 현재까지 논평을 내지 않았다.  대구공고 총동문회 측은 임시회의를 소집해 분향소 설치 여부 등을 논의하고 있다.  동문회는 현재까지 전씨 사망에 대해 별도의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회의에서 논의된 결과에 따라 분향소 설치와 입장 발표 등을 할 것으로 전해졌다.  추승철 동문회 사무처장은 "임시회의 결과에 따라 분향소 설치 여부 등을 결정할 계획"이라며 "지금은 동문들의 입장과 의견을 듣고 있는 단계"라고 말했다. 뉴스1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