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수 품귀 사태의 발단이 된 중국의 요소 수출 금지 조치가 지난달 11일에 알려졌지만 그 후로 3주 넘게 정부 당국이 공식적인 논의조차 하지 않는 등 안일하게 대처했던 것으로 드러나면서 `늑장대응`에 국민들이 분노하고 있다.  중국은 자국 내 석탄·전력난으로 요소 물량이 부족해지자 지난달 15일 `요소 수출 검사`를 의무화하고 사실상 수출을 중단했다. 나흘 전인 11일에는 이미 검사를 예고한 상태였다.  하지만 외교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는 어떤 대응에도 나서지 않았다. 열흘 가량 시간이 흐른 지난달 21일에서야 주중 한국대사관이 수출 중단 상황을 외교부에 보고했고 외교부는 그제서야 산업부 등 소관 부처에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부 산하기관으로 무역·통상업무를 맡고 있는 코트라(KOTRA)는 중국 현지 무역관을 통해 지난달 초 요소 수출 제한 조치를 인지했지만 아무런 대응을 하고 있지 않다가 같은 달 21일에서야 산업부에 뒤늦게 보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렇다보니 경제안보 문제를 다루는 정부의 중요 회의에선 요소수 문제가 아예 상정조차 되지 않았다.  지난달 18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1차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가 열렸지만 요소수 안건은 없었다. 미국의 반도체 정보공개 요청 문제가 주요 의제였다.    청와대 역시 중국의 요소 수출 금지를 단순히 요소비료 수급 문제 정도로 치부하면서 선제 대응에 나서지 않았다.  중국의 요소 수출 중단 3주 만인 이달 4일에서야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어 요소수 문제가 처음 논의된 것이다. 이틀 전인 2일 국무조정실에서 관계부처 합동회의를 연 후였다.  이후 5일에는 안일환 경제수석을 팀장으로 한 `요소수 대응 태스크포스(TF)`가 꾸려졌고 이틀 뒤인 7일에는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에서 요소수 문제가 안건으로 상정돼 본격적인 대응이 시작됐다.  지난 8일에는 기재부 1차관이 주재하는 `요소수 범정부 태스크포스(TF)`, 환경부가 중심이 된 `요소수 불법 유통 정부합동단속반`도 꾸려졌다.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 조치가 시작된 지난달 15일 기준으로 보면 3주가 지난 시점으로 초기 대응 기회를 놓쳤던 것이다.  경유(디젤)차, 물류업체 등을 중심으로 자동차 운행 차질을 호소하고 전국에서 품귀 현상이 만연한 후였다. 정부의 뒤늦은 대응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는 이유다.  지난해 마스크 대란에 이은 요소수 대란은 같은해 일본 정부의 불화수소 수출 규제를 떠올리게 한다.  당시 우리 산업계는 반도체 제조 과정에 필수 요소인 고순도 불화수소 수입이 막히면서 큰 위기를 맞았다.  이러한 탓에 일각에서는 정부가 그동안 수입처 다변화 문제를 안일하게 생각했던 것 아니냐고 비판한다.  특정 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한 국가에 집중되는 경우 언제든지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경험하고도 미리 대비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일들은 두번 다시 격지 않기 위해서는 수입 다변화와 국산화를 위한 대안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