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겨울은 한파로 인해 호수와 한강도 얼고 사회적 거리두기로 우리 마음마저 한기가 파고들어 유난히 혹독하다.  갑작스러운 한파로 도심 속 수도배관과 소방시설이 동파해 건물이나 농가의 농작물 등이 피해를 입어 전국이 비상이었다. 소방에서는 고드름 낙하 우려로 인한 안전사고와 관련된 생활안전 출동이 최근 증가했다.  이번 주 강추위가 다시 찾아와 눈이 내렸고 강풍으로 기온이 떨어져 곳곳의 빙판길이 예상되므로 여간 걱정되는 게 아니다. 우리는 한파 예보에 맞춰 추위에 필요한 용품이나 준비사항을 알고 평소에 대비해야 마지막까지 안전한 겨울을 보낼 수 있을 거다.  앞으로도 반짝 한파와 꽃샘추위가 남아 있기에 겨울이 완전히 지나기 전까지 낮·밤의 기온 변화가 클 거로 예측된다. 따라서 추위에 대응하기 위한 행동 요령과 주의사항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강추위가 찾아오면 외출 시 보온에 유의하고 저체온증, 동상 등 증상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홀로 거주하는 어르신이나 장애인의 경우 특별히 이웃과 관계기관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겨울철에는 난방을 위한 화기 취급이 많아지고 그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도 높아진다. 겨울철 주로 사용하는 난방기구에는 전기장판과 전기히터, 화목보일러 등이 있다.  이른바 3대 난방용품은 겨울철 꼭 필요하지만 잘못 사용할 경우 화재 발생 위험이 크므로 주의사항을 숙지하길 바란다.  전기제품인 전기장판·전기히터의 경우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인지 확인하고 구입해야 한다. 전기장판을 접거나 접힌 상태로 보관하지 않고 전기용량에 맞는 콘센트나 고용량 안전멀티코드를 사용한다. 전기열선도 안전인증마크를 확인하고 수도계량기나 배관에 감아 동파방지 용도로 사용한 후 전원을 반드시 차단해야 한다. 문어발식 전기콘센트 사용은 자제한다.  화목보일러는 불연재로 구획된 별도 공간에 설치하고 주변 2m 이내에 가연물을 두면 안된다. 설치 시 벽과 천장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단열판을 사용한다. 특히 화목보일러를 켜둔 채 장시간 외출을 자해야 한다.  이런 주의사항을 숙지해 집안의 난방용품이나 전기시설의 상태를 한 번 점검해 보길 권한다.  이번 겨울은 특히 코로나19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아이들끼리 음식을 조리하다가 화재가 발생하는 등 안타까운 소식도 간간히 들려와 더욱 염려스럽다.  주택에서는 반드시 주택용 소방시설인 `소화기`와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설치해 화재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처해 화재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길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