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지난달 30일 경북청소년수련원에서 `코로나 팬데믹 이후 청소년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경북 청소년 페스티벌과 함께 비대면으로 개최된 이번 토론회는 유튜브 라이브 생중계를 통해 많은 청소년과 관계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날 토론회는 박남기 광주교육대학교 교수의 초청강연을 시작으로 청소년 활동, 상담·복지, 시설·안전 분야의 전문가들이 청소년 정책에 대한 다양한 연구과제를 발표했다.  박 교수는 `포스트코로나 시대 청소년 활동·정책의 새 패러다임`을 소개하면서 토론 주제에 대한 청중의 이해를 돕고 본격적인 토론의 서두를 열었다.  이어 강영배 대구한의대학교 교수는 기조발제를 통해 `코로나 팬데믹 이후 청소년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면서 코로나19가 청소년 활동에 미친 영향을 조명하고 청소년 정책분야의 대응과제를 제시했다.  손진희 숭실사이버대학교 교수는 청소년 활동영역과 관련해 청소년의 활동권을 보장하고 수련시설의 디지털화 및 활동공간의 비대면 친화적 재구조화를 통해 청소년의 접근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경미 에스테스힐링상담센터장은 청소년 상담·복지영역에 대해 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피해상황을 조사하고 가족관계와 학교생활 등에 미친 영향을 정밀하게 조사·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호문 대구과학대학교 교수는 청소년 시설·안전영역의 발제에서 위드코로나 시대의 청소년시설 안전정책을 제언했는데 위험 시설물의 전문관리 체계 구축과 안전점검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토론회의 주제는 청소년의 관심과 Needs를 반영하고자 구글 트렌드, 네이버 데이터랩 등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핵심주제와 키워드를 선정했다.  유튜브 경청TV 채널 통해 실시간으로 온라인 참여자의 의견을 수렴했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