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는 세대인 3040의 고용부진이 서민 가정의 생계 곤란은 물론 우리나라 경기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우리 경제의 허리로 불리는 `3040(30∼49세) 세대`의 취업자 수와 고용률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3일 통계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3040 취업자 수가 지난 5년간 연평균 1.5% 감소했다고 밝혔다. OECD 국가들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3040 고용률(76.2%)은 38개국 중 30위로 하위권이었다.
G5 국가들과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지난 2015년 대비 2020년 고용률이 0.7%p 감소했지만 독일(84.9→ 85.8%), 일본(82.4→ 85.1%), 영국(83.0→ 85.1%), 프랑스(80.8→ 81.9%)는 고용률이 개선됐다. 다만 미국은 같은 기간 1.6%p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2019년 대비 지난해 3040 취업자가 가장 많이 감소한 산업은 숙박음식점업이었다.
이 기간 숙박음식점업은 7만6516명이 줄었고 다음으로 교육서비스(-7만1102명), 도소매업(-5만3743명), 제조업(-5만406명) 순이었다.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은 3만76명이 늘어난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이었다. 운수 및 창고업(2만1904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1만3425명)도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3040 취업자 비중이 높은 산업은 제조업(19.6%), 도소매업(14.1%), 교육서비스업(8.3%),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7.5%), 건설업(7.1%), 숙박음식점업(5.8%) 순이었다.
이들 산업의 최근 5년간 취업자 연평균 증감율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외에 모두 감소했다.
특히 자영업자가 많은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의 감소율이 각각 3.3%, 2.8%로 높았으며 질 좋은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 역시 2.7% 줄었다.
3040 구직단념자는 지난 2015년 12만9258명에서 2020년 17만1358명으로 증가했다.
특히 지난 2018년부터 증가세가 두드러져 2년간 연평균 12.0%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구직단념자의 연평균 증가율이 7.5%인 점과 비교하면 3040의 구직단념자 증가율이 유독 컸다.
이들의 구직단념 이유는 `이전에 찾아봤지만 일거리가 없었기 때문`(35.2%)이 가장 많았고 `원하는 임금수준, 근로조건이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31.8%)가 뒤를 이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지난해 우리사회의 중추 역할을 하는 3040일자리가 22만3000개나 줄었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이런 마당에 민간기업에서는 주 52시간 근무제 실시로 공무원들은 `희생보다는 휴식과 자유를 권장`하는 근로풍토 탓으로 노는 시간이 많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지금의 풍요로운 삶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경제허리인 3040이 가장 많이 종사하는 제조업 일자리가 늘어날 수 있도록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