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로결석은 극심한 옆구리 통증을 유발하는 비뇨기 질환이다. 마치 칼로 찌르는 것 같은 날카로운 통증이 두드러진다.  이와 함께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혈뇨, 탁한 소변 색의 탁뇨, 발열, 오한, 구토, 복부팽만 등의 증상도 함께 나타날 수 있다. 빈뇨, 절박뇨, 잔뇨감 등의 배뇨 장애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요로결석 증상은 비뇨계통에 발생한 요석 결정 때문이다.  수분 섭취가 적거나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 유전적으로 대사 이상을 겪고 있는  경우 요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작은 결석은 요관을 따라 이동하며 소변을 통해 배출된다.  하지만 결석이 크게 형성된 경우라면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에서 여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실제로 요로결석 발병 시 나타나는 극심한 옆구리 통증은 요석 결정이 이동하며 이뤄지는 요관의 연동운동과 요관의 막힘에 따른 소변 정체로 신장이 부어서 생기는 현상 때문이다.  혈뇨는 결석이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의 요로를 통과하면서 점막을 과자극해 손상을 일으켜 발생하는 증상이다. 배뇨장애 등도 결석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더욱 큰 문제는 요로결석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요로 감염, 수신증, 신부전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까지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신장 기능까지 손상을 입을 경우 치료 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워질 수 있다.  요로결석은 환자의 임상적 양상과 더불어 신체·소변·초음파 검사, 경정맥 신우조영술, CT 촬영을 통해 최종 진단한다.  요석 결정 크기가 작고 요로 폐쇄가 심하지 않다면 결석이 자동 배출되길 기다리는 대기요법을 고려할 수 있다. 보통 요석 크기가 4mm 이하인 경우라면 자연 배출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통증이 심하거나 결석 크기가 4mm 이상이라면 요석을 인위적으로 파쇄해 배출시키는 치료법을 강구해야 한다. 대표적인 치료법으로 체외충격파쇄석술, 요관경하배석술 등이 있다.  체외충격파쇄석술(ESWL)은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치료법으로 체외에서 충격파를 가해 요로 내에 존재하는 결석을 분쇄하는 방법이다.  비수술 요법으로 절개 등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결석 성분 및 크기에 따라 여러 차례 시술을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만약 쇄석술을 3회 이상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결석이 단단해 제거되지 않는 경우 결석 위치가 좋지 않고 크기가 커서 쇄석술이 어려운 경우라면 요관경하배석술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관경하배석술은 요관내시경을 이용해 홀뮴 레이저 등으로 결석을 파쇄, 배출시키는 치료법으로 경성 요관경하 결석제거술(URS), 연성 요관경하 결석제거술(RIRS) 등의 방법이 있다.  연성 요관내시경은 딱딱한 일직선 형태의 경성 요관내시경과 달리 가느다랗고 부드럽게 휘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신장이나 상부 요관에 위치한 결석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