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생활폐기물 처리 방법 개선으로 매립장 사용기한을 최대한 연장하는 등 자원순환형 사회 구축을 위한 정책 효과가 빛을 발하고 있다.시는 생활폐기물처리시설인 호동매립장 주변 환경민원 및 반입 생활폐기물 재활용 연료원 관리 내실화를 위해 지난해부터 사업비 6억 5,400만원을 투입해 전체 압축 베일 96,800개(밀봉 면적 85,050㎡)를 합성고분자 방수시트(재질 HDPE·t=1.0mm)로 포장하는 밀봉덮개 설치를 완료했다.이로 인해 지역 주민의 악취 민원을 해소하고, 향후 설치예정인 생활폐기물 에너지화 사업에 연료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돼 매립장 사용연한을 최대한 늘릴 수 있게 됐다.또한 올해 하반기에도 생산되는 압축 포장베일을 전량을 방수시트로 포장 덮개를 완료할 계획이다.이에 지역 주민들의 악취 및 해충으로 인한 피해 최소화와 재활용 연료원으로 활용, 자원회수율 향상이 기대된다.또한 지난해와 올해 폐목재류 수집·운반 재활용 처리비로 4억 5,000만원을 투입해 매립부에 분리 적치된 폐목재류 9,500톤을 재활용 전문처리업체를 통해 전량 재활용 위탁 처리한다.이에 따라 향후 호동 2매립장 매립시설의 사용기간을 매년 6개월 연장하는 효과가 기대 된다.특히, 올해 2월부터는 생활계폐목재, 건설폐목재, 사업장폐목재(5톤 미만 반입)등 기존 공사장 생활폐기물 배출(자가운반)신고자가 배출하는 폐기물의 매립장 반입이 전면 금지되면서 매년 반입되는 폐목재류 7,000톤을 공모를 통해 지정된 전문 재활용 위탁처리 업체, ㈜한국자원을 통해 지난 2월부터 3개월 동안 1,300여톤(하루 14톤) 정도를 직접 재활용 처리했다.현재 이뤄지는‘배출자 중심 폐목재류 위탁처리 사업’은 배출신고자가 읍면사무소 및 동 주민센터에서 발부해야 하는 공사장 생활폐기물 배출(자가운반) 신고서 작성이 불필요해 시간이 절약되고 재활용 처리수수료(10원/kg당)도 절감된다.특히 분류등급 2등급(생 폐목재)인 경우 무상 처리해 줘 시민들의 처리비용 1,300만원 가량이 경감됐으며, 매립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동시에 폐목재의 재활용 처리 활성화와 자원순화체계 구축에도 큰 몫을 할 전망이다.손상욱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