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박물관은 신라의 대표 문화유산 `성덕대왕신종` 보존을 위한 과학적 조사와 연계해 `타음조사 공개회`를 연다.  이번 행사는 천년의 종소리를 국민과 함께 나누고 그 역사·문화·예술적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성덕대왕신종은 771년(혜공왕 7년)에 완성된 신라 범종으로 성덕왕의 원찰인 봉덕사에 처음 봉안됐다. 이후 영묘사와 경주읍성 남문 종각을 거쳐 지난 1915년 옛 경주박물관으로 옮겨졌으며 1975년 현재의 국립경주박물관 자리로 이전돼 전시되고 있다.  박물관은 지난 1992년 파손 우려로 정기 타종을 중단한 이후 보존 상태와 구조 변화를 진단하기 위해 1996년, 2001~2003년, 2020~2022년에 세 차례 타음조사를 실시했다.  올해부터는 향후 5년간 해마다 9월 타음조사를 진행하며 데이터 축적과 보존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공개회는 2001~2003년 이후 22년 만에 열리는 행사로 조사 과정을 국민에게 처음으로 선보인다.  안전한 타음 환경을 위해 참석 인원은 제한되며 신종의 제작 연도를 기념해 총 771명이 초대된다.  신청 자격은 2018년 이전 출생한 초등학생 이상이며 1인당 최대 2명까지 가능하다.  참가 신청은 오는 8일부터 14일까지 국립경주박물관 누리집에서 가능하며 선정자는 공정한 추첨을 통해 결정된다. 결과는 15일 누리집 공지 및 개별 안내된다.  윤상덕 관장은 "이번 공개회는 과학적 조사와 문화 향유를 결합한 뜻깊은 자리"라며 "참석자들이 천년의 울림 속에서 신라 정신과 예술의 깊이를 느끼길 바란다"고 말했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앞으로도 해마다 1회 타음조사 공개회를 지속해 국민에게 성덕대왕신종의 원음을 들려주고 문화유산 보존의 중요성을 알릴 계획이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