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백두대간 지역의 희귀식물인 가는대나물의 엽록체 유전체를 해독하는 데 성공했다. 이로써 백두대간의 소중한 식물자원 보전을 위한 과학적 연구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게 됐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에 따르면 백두대간의 희귀식물 보전과 복원 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 과정에서 가는대나물의 엽록체 DNA 서열을 해독함으로써 과학적 보전 연구에 큰 진전을 이뤘다. 이번에 확보된 유전체 정보는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의 세계유전자은행에 등록됐으며 아시아-태평양 생물다양성을 다루는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가는대나물 집단 간 유전적 차이를 분석해 보전이 시급한 집단을 선정하고 체계적인 보전 및 복원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종자 수집 및 시드뱅크 저장, 생체 증식을 통한 현지외 보전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국내 고산지대 희귀식물에 대한 통합적인 보전연구를 강화할 방침이다.
가는대나물은 백두대간의 석회암 지대에 제한적으로 자생하는 북방계 식물로 7월경 옅은 분홍색 꽃을 피우며 관상 가치가 높다. 과거 북한에만 분포하는 종으로 알려졌으나 지난 2002년 강원도 자병산에서 국내 분포가 처음 확인됐다. 현재는 강원도 강릉시와 삼척시 두 곳에서만 자생지가 확인되고 있다. 이에 산림청은 가는대나물을 희귀식물 위기 등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이규명 원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백두대간의 소중한 식물자원인 가는대나물의 엽록체 유전체를 확보했다"라며 "앞으로도 백두대간의 희귀식물 유전정보 확보 및 과학적 보전 연구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정휘영 기자jhy443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