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위치를 특정할 수 없는 곳에서 사고를 당하거나 재난이 발생하는 등 위급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이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도로변이나 등산로 등에 기초번호판과 국가지점번호판을 설치하고 이들 시설에 대한 홍보영상을 제작, 대구시 주요 전광판, 유튜브 등에 게시해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시는 한국전력, 산림청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지난 2013년부터 주요 등산로 등 산악 지역에 국가지점번호판 설치를 시작해 왔으며 올해 5월 기준 1322여개를 설치했다.  지난 2014년부터는 건물이 없는 도로변에도 기초번호판을 설치해 올해 5월 기준 1620여개를 설치했으며 사건, 사고, 재난 시 빠른 대응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시민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주소정보시설인 국가지점번호판과 기초번호판 활용에 대한 영상을 제작해 시 홈페이지와 주요 교차로 등에 게시해 홍보하고 있다.  영상은 젊은 연인들을 모델로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설정해 △팔공산 드라이브 중 차 사고 났을 때 기초번호판을 활용하거나 △봉무공원 주변 산에서 산행 중 다쳤을 때 국가지점번호판을 보고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는 내용으로써 시민들에게 직관적이고 쉽게 전달해 주소정보시설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지점번호판은 산악이나 해변 등에 노란색 바탕에 앞 두 글자는 한글, 뒤 여덟 글자는 숫자로 전체 열 자리로 표기돼 있으며 주로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등산로 인근에 설치해 산행 중 부상을 입거나 조난을 당했을 때 경찰서나 소방서에 신고 시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이들 국가지점번호와 기초번호는 소방서와 경찰서에서 사용하는 시스템에 연계돼 신고 시 해당 번호를 알려주면 위치를 바로 파악해 빠른 대응이 가능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강두완 기자backery@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