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는 위기가구를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복지사각지대 해소 종합계획`을 연중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는 단전·단수·단가스 등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한 위험 징후 수집과 1인 가구 전수조사, 민관 협력 인적안전망을 활용한 현장 중심의 발굴을 병행한다.  8일 시에 따르면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집중 발굴기간으로 정하고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되는 중장년 1인 가구를 주요 대상으로 조사에 착수했다.  특히 AI 기반 안부 확인 시스템과 병원 동행, 식사 및 영양 관리 등도 함께 이뤄진다.  시는 실태조사를 통해 고위험군 유형을 분석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사후관리로 서비스의 실효성을 높일 방침이다. 또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좋은이웃들, 행복기동대 등 지역 내 민간 조직과 연계한 인적안전망을 강화하고 온라인 신고 채널 `경주희망톡`과 복지위기가구 알림 앱 등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한편 경주시는 지난 한 해 동안 복지사각지대 5078가구를 발굴하고 1인 가구 1만5364세대를 전수조사해 고독사 고위험군 263세대(1.53%)를 조기 발견한 바 있다.  주낙영 시장은 "다양한 채널과 방법을 통해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하고 보다 촘촘한 복지서비스로 지역 공동체의 안전망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