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과 전쟁 중인 경북도가 저출생 분야 각계각층의 전문가들과 함께 이론 무장에 나섰다.  경북도는 1일 도청 다목적홀에서 제1회 `저출생 극복 공부 미팅`을 개최해 도청과 시·군 직원, 공공기관 관계관 등의 저출생 대응 역량을 강화했다.  1회차 공부 미팅에는 이재희 육아정책연구소 저출생연구팀장을 초청해 사회·문화·심리적 관점을 통한 한국 사회 저출생 현상의 이해라는 주제의 특강을 진행했다.  이 팀장은 특강에서 일· 가정 양립, 교육환경, 가치관, 수도권 집중 등 다양한 저출산 원인을 제시하고 경제성장·복지국가 측면과 함께 개인의 가치와 태도 등 문화적 요인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제2차 인구변천 이론을 강조했다. 특히 한국에서 저출생을 심화시키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소개했다.    한국 사회 특징인 체면문화와 저출생 현상과의 관계성을 짚었다. 위신을 지키기 위해 형식에 치중하는 한국의 특성 및 체면문화로 인해 비혼 출산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으며 형식적인 결혼 문화가 자리 잡아 높은 결혼 비용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또한 자녀의 성공 하나만을 바라보고 막대한 사교육비를 투자하는 부모들의 노력 등 한국의 가족주의와 체면문화의 결합이 문제를 더욱 심화시킨다고 지적했다.  이 팀장은 저출생 정책에 있어 한국 사회 문화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해 우리 사회에 맞는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 사회가 다양한 가치가 공존하고 개인의 권리와 선택의 자유가 강조되는 사회로 변해야 하며 사회적 신뢰 회복과 최근 심해지는 사회 갈등 해결이 저출생 극복 정책 마련과 반드시 병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의가 끝나고 참여자들은 앞으로 정책화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체면문화를 바꿀 수 있도록 사회 문화 인식개선 운동과 사회적 신뢰 회복 방안 마련에 집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