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출범한 `김기현 체제`가 두달 가까이 되어 가는데도 제대로 안착하지 못하는 듯 하다. `내부총질` 로 논란의 중심에 섰던 이준석 전 대표를 지나 친윤(친윤석열) 핵심 권성동 `원톱` 체제, 짧았던 주호영 비대위와 180일 동안 이어진 정진석 비대위 등 임시지도부 체제를 거쳐 친윤(친윤석열) 김기현 지도부가 탄생했지만 잦은 설화로 몸살을 앓고 있어서다.
거듭된 혼란은 여당의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윤석열 정부의 운명을 가를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비상 상황`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마저 나오고 있다.
국민의 힘에서는 지난 3일에도 태영호 최고위원과 관련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앞서 이진복 대통령실이 자신에게 정부의 한일외교에 대한 지원과 함께 이를 잘 수행할 경우 공천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했다는 내용의 녹취록이 공개된 데 이어 이번에는 지난 지방선거에서 자신의 지역구 시·구의원으로부터 쪼개기 정치후원금을 받았다는 의혹이 터져 나왔다.
태 최고위원은 제주 4·3 발언과 `JMS 민주당` 메시지로 당 윤리위원회에 회부된 상태. 앞선 발언이 역사관과 연관된 문제인 만큼 경징계가 예상됐지만 거듭된 논란이 제기되면서 중징계를 피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태 최고위원과 함께 윤리위에 회부된 김재원 최고위원 논란도 현재 진행형이다.
`5·18 폄하`, `전광훈 목사` 발언 등 연이은 논란 끝에 4월 한달 간 자숙하기도 한 김 최고위원은 당원권 정지 1년 이상의 중징계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 경우 김 최고위원은 내년 총선 출마가 불가능해 진다.
두 최고위원의 중징계는 결국 `김기현 지도부`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지난 3월 8일 전당대회를 통해 출범한 지 50여일 만에 두명의 최고위원이 자리를 비우는 지도부 공백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과거 `5·18 망언 논란` 과 관련 당원권 정지 3개월 징계를 받은 후 최고위원으로 복귀한 김순례 전 최고위원 사례를 볼 때 두 사람 모두 징계 이후 자진 사퇴를 하지 않을 경우 복귀가 가능하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 경우 상당 기간 불완전한 지도부가 운영될 수밖에 없다.
징계를 둘러싼 혼란도 우려스러운 지점이다. 두사람 모두 전당대회를 통해 최고위원에 당선됐고 특히 김 최고위원의 경우 1등을 기록한 만큼 지지자들의 반발 가능성이 제기된다. 실제 당원 2만1725명은 이날 김 최고위원 징계를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당 안정에 대한 기대감으로 출범한 김기현 지도부마저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면서 여당은 윤석열 정부 출범 1년이 다 되도록 안정을 찾지 못하는 모습이다.
당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 이후 지도체제가 5번 바뀌는 등 혼란을 거듭해왔다.
대선을 함께 치른 이준석 전 대표는 윤 대통령, 친윤계와 갈등이 반복됐다.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이 전 대표와 친윤계 최고위원간 신경전이 드러났고 이 전 대표의 당원권 정지 징계 이후에는 윤 대통령이 친윤 핵심 인사이자 당시 원내대표와 당 대표를 겸임하던 권성동 의원에게 이 전 대표를 `내부 총질이나 하던 대표`라고 표현한 휴대전화 메시지가 포착되기도 했다.
이 전 대표 이후 친윤 지도부가 들어섰지만 불완전한 모습으로 혼란상이 그대로 노출됐다. 친윤 핵심 권성동 `원톱` 체제는 대통령 메시지 노출 등 각종 논란 끝에 막을 내렸고 이를 수습하기 위해 출범한 주호영 비대위는 이 전 대표의 가처분신청을 법원이 인용하면서 17일 만에 좌초됐다.
친윤계 맏형으로 불리는 정진석 비대위 체제가 당을 180여일 동안 이끌며 당이 안정을 찾기도 했지만 비대위라는 임시 지도체제라는 한계가 명확했던 만큼 안정적 지도체제 구축이란 당의 과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였다.
당 혼란이 거듭되는 기간, 윤 대통령과 당 지지율은 연일 하락했다. 이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내년 총선 준비에도 빨간불이 켜질 것이란 우려가 큰 상황이다. 극단적 여소야대 국면을 전환해야 하는 여당 입장에서 총선 패배는 치명상이 될 수밖에 없다.
여당은 정부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축으로 총선 승리와 국민들의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서라도 거듭된 혼란을 서둘러 수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