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에서 지난 2017년 발생한 지진이 자연지진이 아닌 국책사업으로 진행 중이던 지열발전소 시험 가동 중에 발생한 촉발지진임이 밝혀졌지만 피해 주민들은 피해보상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피해 주민들은 지진이 발생한지 4년이 지났지만 강풍에 창틀이 덜컹거려도 지진인 줄 알고 가슴이 철렁내려 앉는 등 아직도 공포에 떨고 있다.
지난 2017년 11월 15일 오후 2시 29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남송리 지표 7km에서 발생한 규모 5.4 지진은 51만 포항 시민들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놨다.
포항지진 피해와 관련해 한국은행 포항본부는 `포항 지진의 경제적 영향 추계 및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공공시설 등의 직접피해액 2566억1000만원, 간접피해액 757억4000만원을 합해 전체 피해액이 3323억5000만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포항시는 지진이 자연지진이 아닌 국책사업으로 진행 중이던 지열발전소 시험 가동 중에 발생한 촉발지진임이 정부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로 밝혀지자 정부에 피해보상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진특별법의 포항지진피해구제심의 절차에 따라 피해 주민들에게 피해금액을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피해금액을 받은 대부분 시민들은 "집수리 등을 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반발하고 있다.
진앙지에서 직선으로 3km 가량 떨어진 포항시 북구 장성동 고층 아파트에 사는 주민들은 "창틀과 외벽, 바닥 등 곳곳에 동전이 들어갈 정도의 틈이 생겨 피해구제심의를 신청했는데 받은 돈으로는 지진 이전과 같이 수리를 하기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최근 피해구제금을 지급받은 포항시 장량동 고층 아파트에 사는 50대 A씨는 "지진으로 베란다와 샷시에 변형이 생겨 비만 오면 홍수가 날 정도다. 또 창틀과 현관문이 비틀려 잘 열리지 않고 화장실 배수구에서 누수 현상이 생겼다"고 했다.
그는 "금이 간 벽과 바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장판과 벽지를 모두 뜯어내야 하는데 지원금으로는 턱없이 모자란다"며 "어떤 기준으로 심사를 했는지 피해 주민들의 아픈 마음을 한 번이라도 생각해 봤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피해 주민들은 "지진특별법이 제정됐지만 피해 주민들이 피부에 와닿는 피해 보상과는 거리가 멀다.
지금이라도 실질적인 피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으면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포항시 관계자는 "피해구제금을 받아도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며 "서류를 보강해 읍·면·동과 포항시청 지진피해창구로 접수하면 된다"고 했다.
포항지진은 지열발전소에 의한 촉발지진임이 밝혀졌고 감사원 감사에서도 20여건의 위법, 불법행위가 드러난 만큼 억울한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게 충분한 보상을 통해 이들이 잃어버린 삶의 의지가 되도록 해야 한다.
지난 8월 31일 마감된 포항지진피해구제지원 신청은 총 12만6071건이며 지난달까지 7차례에 걸쳐 1923억원(4만2548건)의 구제지원금이 지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