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배진석 의원(국민의힘, 경주, 기획경제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10일 제324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를 통해 백신 접종률 제고를 위한 경북도 차원의 대책 마련, 지역 대학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맞춤 지원 정책 마련, 연구용역의 품질 향상과 관리 방안 마련, 기반 구축사업 실태 점검 및 추진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배진석 의원은 먼저 지난 8일 기준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자에 대한 1차 백신 접종률은 전국 52.2%, 경북 50.2%로 경북 지역이 전국 대비 2.0% 낮으며 3일 마감된 60세 이상 75세 미만의 백신 접종의 사전 예약률 또한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또 도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수산물 등을 구매해 백신 접종자에게 제공하거나 바우처 카드를 주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며 다가오는 휴가철을 맞아 백신 접종자들에 한해 추첨 등을 통한 기초단체 연계 숙박업소 상품권, 지역사랑 상품권 등을 제공해 휴가철 도내 관광을 유도하는 등 경북의 백신 접종률 제고를 위한 도 차원의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어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도내 유일의 대학병원인 동국대경주병원이 속한 동국대 경주캠퍼스 이전 논의에 대한 지역사회의 우려를 전했다.  경북도가 대학 또는 부설기관과 수행한 협력사업과 지원이 도청과 가깝고 도유관기관인 대경연구원, 경북테크노파크와 가까운 대구와 경산에 있는 대학에 전체의 80%가 집중됐다고 지적하며 수도권 지역과의 경쟁뿐만 아니라 같은 지역에 있으면서도 도청, 도유관기관과 멀어 이중으로 소외되고 차별받는 지역 대학에 보다 세밀하고 적합한 지원책이 만들어져야 하며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경북도의 연구용역은 최근 10년간(2011∼2020년) 733건이 진행됐으며 이 시기 도 전체 예산은 7조9000억원에서 9조6000여억원으로 20.9% 증가, 연구용역은 지난 2016년 58건에 36억8000만원이었던 것이 2020년 130여건 101억4000만원으로 5년 사이 건수는 2배 이상, 예산은 3배 가까이 증가했음에도 지난 10년간 경쟁 입찰에 의한 연구용역이 전체 연구용역의 28.7%에 불과하다.  지난해의 경우 130여건의 연구용역 중 3분의 1인 38건이 소액수의 계약이고 최근 3년간 정책연구관리시스템(PRISM)에 등록된 경북의 연구용역과제는 지난 2018년 26건, 2019년 27건, 2020년 26건으로 20%밖에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기획과 기안은 연구용역에 맡기고 그 결과에 따라 실행은 출자출연기관에 떠넘기며 행정편의주의를 위해 용역을 수행하는 행태를 탈피해 줄 것을 촉구했다.  지난 10년간 추진된 과학산업분야 기반 구축사업 중 완료사업은 11건이며 이 중 정상 추진은 7건, 미흡이 4건으로 추진이 미흡한 사업이 40%에 이른다고 밝히며 정상 추진 7개 사업도 자체 점검 결과일 뿐 내부적으로 들어가면 해당 위탁운영기관의 운영비가 적자가 나지 않는 수준이거나 보유장비 가동율이 최소한의 기준을 충족하는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국비사업 유치라는 실적과 치적으로 홍보하는 것에만 집중하는 구태의연한 사고에서 벗어나 실질적으로 산업을 고도화하고 육성해 지역 산업과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도의 특성과 향후 산업 연계 등을 충분히 고려한 기반 구축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