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 경북도 시.군 환경규제개혁 `한목소리` 경북도는 5일 오후 2시 도청 강당에서 권오승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을 비롯한 도 및 시.군 환경?청소과장 등 1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시.군 환경관계관 회의’를 개최하여 각종 규제개혁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지역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교통난 해소와 시민건강을 위해 엄청난 혈세를 부어가며 조성한 경주시의 자전거전용도로가 일부 구간의 경우 다짐작업이 제대로 되지 않아 도로의 불안전으로 이용자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여기에 상당수 자전거도로 구간의 포장재가 칼러 아스콘(인터록킹)으로 인해 패이고 벗겨져 흉물스럽게 방치되면서 비가 오면 거친 노면이 금새 물웅덩이로 변해 노약자나 아이들이 큰 불편을 겪고있지만 지자체의 유지 관리는 제대로되지 않아 시민들의 원성을 사고있다. 또 횡단보도와 자전거도로를 잇는 부분이 턱이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데다 연결이 매끄럽지 않거나 이용 도중 돌연 자전거도로가 끊기는 연계성 부족으로 자전거와 승용차 등이 뒤엉켜 달리는 위험한 모습까지 연출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도내 지자체 마다 자전거 열풍이 불면서 경주시도 이러한 사회적인 분위기에 발맞춰 시민들에게 자전거 이용을 장려하는 차원에서 자전거길 조성에만 열을 올리다보니 실제 도심에서 자전거를 이용히는데 불편이 없는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불법주차와 주변 도로 상황을 무시한 마구잡이식 설치와 연계도로 및 경사도 등을 고려하지 않은 도로가 많아 일부구간의 자전거도로가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있다. 특히 자전거도로는 날로 심각해지는 도심 교통난을 해소하고, 자전거 이용을 늘려 대기오염까지 줄이는 녹색 교통공간으로`1석2조`의 효과로 각광을 받으면서 경주시도 엄청난 예산을 들여 앞 다퉈 설치했지만 실제 전봇대, 가판대, 가로수, 화단, 정류장, 육교, 교각 등 각종 시설물에 점거돼 이를 피해 곡예운전을 해야 하는 불편을 겪기가 일쑤며 자동차나 오토바이가 주·정차하고 있는 곳도 적지않아 인도에 줄만 긋고 자전거도로 표지만 그려놓은게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 정도다.  한마디로 자전거도로가 제 구실을 못하고 있어 경주시가 시민의 피와 땀인 혈세 수백억을 들여 자전거도로 건설에 열을 올렸지만 활용도는 기대에 못 미쳐 막대한 예산만 낭비했다는 비난이 끊이지 않고 있다. 때문에 자전거타기 활성화와 자전거를 생활형 교통수단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불편사항인 노면보수와 각종 불법 적치물과 주차 차량, 불법으로 내놓은 상가 간판 등에 대한 지속적인 계도와 단속으로 안전하고 독립적인 자전거도로 확보에 나서야 하지만 단속과 개선이 지체되면서 이용 빈도가 갈수록 낮아져 일부 자전거도로가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더욱 문제는 자전거길이 끊어져 있는 곳이 많고 노면도 고르지 않으며 상당수 자전거도로가 좁은 인도 위에 겹쳐져 있어 보행자나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에게 사고의 위험을 주고 있지만 개설·정비가 제대로 되지않아 보행자들은 "있으나 마나해 오히려 없으면 좋겠다"는 입장마저 보이고 있다. 현재 경주시의 자전거도로는 천년고도 경주의 문화유적지 탐방에 자전거를 이용하는 관광객 수요에 맞추기 위해 지난 1994년도부터 시가 보문관광단지를 비롯한 불국로, 월성로 등 15개 자전거노선에 125억여 만원을 투입, 지난 1월 말을 기준 134㎞에 자전거도로와 22㎞에 달하고는 자전거전용도로가 개설한 후 매년 5000여만원을 유지보수비로 쏟아붓고 있지만 턱없이 부족해 자전거도로 개설 및 유지 관리비를 전액 국비로 지원하지 않는 한 자전거 도로가 무용지물에 애물단지로 전락할 것이라는 지역사회의 지적이다.    장영칠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