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신라문화원이 21일 `2025년 하반기 경주문화유산해설사 양성교육`을 개강하며 16주간의 심화 교육과정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지난 2022년 첫 개설 이후 820여명의 수료생을 배출하며 경주를 대표하는 문화유산 전문 교육으로 자리매김했다. 국가유산청의 `활용 프로그램`에서 출발해 현재는 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자력본부 후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번 학기 역시 오전반·저녁반 각 60명 전원이 조기 마감될 만큼 높은 관심을 모았다.
하반기 과정은 세계문화유산, 신라 초·중기 역사, 사찰 공간미학, 근대 고고학사 등 폭넓은 주제를 아우른다.
조훈철 전 동국대 박물관 선임연구원은 `유네스코 등재 세계문화유산` 강좌로 경주역사유적지구, 양동마을, 조선왕릉, 수원화성 등 국내 세계유산의 역사성과 미학적 가치를 조명한다.
이현태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신라 초·중기 유적과 역사`를 주제로 천전리 서석과 화랑 문화, 6~7세기 왕궁 변화, 동궁과 월지, 신라 상장례, 토우를 통해 신라사의 흐름을 입체적으로 살핀다.
김동하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은 `신라 왕경의 사찰과 불상`에서 가람 배치, 불상 재료 변화, 경주 남산 불교유적의 특징을 분석하며 불국토 경주의 사찰 공간미학을 심화한다.
정인성 영남대 교수는 `일제강점기 고적 조사와 경주` 강의에서 호우총 발굴, 경주고적보존회, 일본인 연구자들의 고건축물 조사 등 근대 고고학사의 형성과 국제적 맥락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진병길 원장은 개강식에서 "신라문화원은 역사·문화유산의 심층 탐구와 전문 해설 인력 양성을 통해 지역과 국가의 문화유산 가치를 미래 세대에 계승하는 데 앞장서겠다"며 "교육에 참여해 주신 강사님과 수강생 여러분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