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교육부로부터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최종 지정되며 미래형 교육 혁신 도시로 도약에 나선다.
10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교육발전특구 2차 공모에서 예비 지역으로 선정된 데 이어 올해 교육부 재평가를 통과해 시범지역으로 확정됐다.
시범운영 기간은 지난 2024년부터 오는 2026년까지 3년이며 연차평가를 거쳐 2026년 정식 특구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이번 교육발전특구 사업은 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 공공기관이 협력해 지역 특성에 맞춘 교육혁신 모델을 구축하고 지역산업 연계형 인재 양성 및 정주 여건 개선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는 교육부 주관 공모사업이다.
경주시는 역사·문화·관광산업과 미래차, 혁신원자력 등 지역 대표 산업을 융합한 `정주형 미래인재 양성 모델`을 제안해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이번 재평가에서 `선도지역`으로 지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시는 이번 특구 지정을 계기로 △경주형 돌봄체계 시스템 △경주형 유보·유초 연계 프로그램 구축 △MICE 협약형 특성화고 및 경북형 마이스터고 지정 협약 등 전략 과제를 중심으로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또 지자체-대학-기업 간 협력을 통해 지역 특화산업에 필요한 전문 인재를 육성하고 관련된 혁신기술 개발과 청년 인재의 정주 지원을 병행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인재 관리 체계를 갖춘 `경주시 인재뱅크지원센터` 설립도 추진한다.
주낙영 시장은 "이번 교육발전특구 지정은 경주가 지역산업과 연계한 실질적인 인재 양성에 나설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며 "지역사회, 대학, 기업이 힘을 모아 교육혁신을 완성하고 인구소멸 위기를 극복하는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