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이 지난 6일 `성주 농업 대토론회`를 개최하고 성주군 농업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토론회는 급변하는 농업 환경 속에서 성주군 농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민·관·산·학·협 각 주체의 역할과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해결책을 도출하고자 기획됐다. 특히 기후변화, 외국인 계절근로자 문제, 청년농업인 육성, 유통구조 혁신 등 당면 핵심 과제들을 중심으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졌다.  토론회에는 좌장인 이병환 군수의 주재로 군의회 의원, 지역농협조합장, 학계 교수, 농업인단체장, 참외 및 과수 생산자, 유통 전문가 등 34여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해 자유토론 방식으로 열띤 토론을 펼쳤다.  토론회는 `기후변화 및 이상기후로 인한 농산물 생산 대책`을 주제로 첫 번째 주제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 등 농업에 미치는 심각성을 강조하며 탄력적 재배시기 조절, 하우스 시설개선사업 확대, 데이터 기반 농업 조성 등 다양한 대책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두 번째 주제는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 증가에 따른 문제점과 대책`이었다. 참석자들은 외국인 근로자 도입으로 인한 고령 농민 은퇴 시기 변화, 영세 농민 도태, 영농 규모 양극화 심화 등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하며 농촌 지역사회와의 소통 강화, 근로자 교육 및 문화 교류 프로그램 운영, 농업인 지원 정책 재정비 등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세 번째 주제는 `청년농업인 육성 및 정착 기반 조성`이었다. 참석자들은 임대형 스마트 실습농장 운영, 창농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확대, 농업 진입 장벽 완화, 농촌정착 지원 확대 등 청년 농업인 육성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네 번째 주제는 `소비자 및 산지 중심의 유통구조 혁신`이었다. 참석자들은 온라인 경매, 직거래, 플랫폼 기반 판로 확대, 산지 유통센터 강화, 농산물 가격안정기금 조성 등 유통 시스템 혁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성주참외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온라인 판로 확대, 고급 참외 개발, 수출 확대 등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됐다.  마지막 주제는 `2026년 군 자체 중점 보조지원 사업`이었다. 참석자들은 선택과 집중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며 시설분야, 수도작, 과수, 원예분야 보조사업 자체 예산 확대 및 지원 사업 집중 방안을 논의했다.  김일호 기자hoya1515@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