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는 지난 1일 경북도 및 포스코홀딩스와 `소형모듈원전(SMR) 1호기 경주 유치 및 원전전력 활용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부의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추진 중인 국내 실증 SMR 1호기의 경주 유치를 본격화하고 인근 SMR 국가산업단지의 성공적 조성을 위한 협력 체계 구축, 나아가 수소환원제철 실현을 위한 안정적 원전 전력 활용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이날 세 기관은 △소형모듈원전(SMR) 국내 실증 1호기 경주 유치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 투자 △수소환원제철을 위한 원전 전력 공급방안 마련 등에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경북도와 경주시는 대형원전에 비해 안전성이 뛰어나고 산업계 수요가 높은 SMR을 중심으로 원자력 산업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 조성,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설립, 제작지원센터 구축 등 첨단에너지 산업 육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날 협약은 산업 수요 측면의 대표주자인 포스코홀딩스와 공급 측면의 경주시·경북도의 협력이라는 점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포항에 본사를 둔 포스코는 세계 7위의 조강 생산능력을 보유한 글로벌 철강기업으로 최근 미국·유럽 등 국제 무역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수소환원제철 중심의 탄소중립 공정 전환을 추진 중이다.
수소환원제철은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기술로 1538도 이상의 고온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무탄소 전원이 필수적인 만큼 SMR을 포함한 원자력 전력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수소환원제철을 위한 막대한 전력 수요는 재생에너지로는 충족이 어려운 만큼 정부 차원의 전력구매계약(PPA) 제도 개선과 원전 전력 활용 지원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주낙영 시장은 "철강산업의 탈탄소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고 수소환원제철을 위한 안정적 전기 공급은 SMR이 유일한 대안"이라며"경주와 포스코가 협력하면 SMR 1호기 경주 유치 가능성이 커지고 포스코는 안정적인 대용량 전기를 확보할 수 있어 기업과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주시는 업무협약을 계기로 SMR 1호기 유치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국가 산업단지와 연계된 첨단 에너지 산업 중심지로의 도약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