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이어진 극한호우 기간 `마~어서 대피` 프로젝트를 통해 경북에서는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가운데 이철우 도지사는 20일 폭우 이후에도 인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예찰 활동을 강화할 것을 지시했다.  이번 호우는 △청도군 416.5mm △경산시 333.9mm △고령군 358.4mm, 산불 지역인 △안동시 165.4mm를 기록했으며 특히 △청도군 각남면 421mm △고령군 우곡면 360mm으로 최대 강수량을 기록했다.  경북도는 `극한호우` 기간 중 이철우 도지사의 `과잉 대응 원칙`이라는 특별 지시에 따라 매일 1회 이상 김학홍 행정부지사와 박성수 안전행정실장 주재하에 상황 판단 회의를 개최하고 호우 현황을 확인, 대책을 고심했다.  경북도에서 추진한 5대 특별 대책은 첫째 인명 피해 우려 지역 과잉대피, 둘째 그 외 지역은 마을순찰대 적극 가동, 셋째 도 실·국장 등의 22개 시군 안전지원책임관 파견, 넷째 장마 기간 내내 안전행정실 내 초대형 산불피해지역 24시간 전담관리반 가동, 다섯째 `우리 마을 대피왕` 제도를 시행해 호우 대응에 빈틈없이 준비했다.  이러한 특별대책에 따라 이번 호우 기간 중 22개 시군 3445곳에 마을순찰대 5696명이 주민대피, 사전예찰 및 배수로 정비 등 활동을 펼치며 산불 피해 지역 및 인명 피해 우려 지역 등에 선제적 대피를 독려했다.  그 결과 호우 기간 중 10개 시군 395세대 547명이 선제적으로 대피했고 청도군 108세대 174명, 고령군 102세대 145명, 포항시 80세대 96명이 대피해 인명 피해 없이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이철우 도지사는 특별 지시 사항을 통해 2차 장마 본격화에 따라 시군에서는 장마 해제 시까지 최고 수위의 대응 단계체계를 구축하고 도 실·국별 취약 시설과 위험지역에 대한 인명 피해 예방 대책을 즉각 시행해 비상 대응 체계를 유지하도록 지시했다.  다행히 경북도는 20일 오전 현재 공공시설 3개소, 사유시설 2개소만 피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공공시설 피해로는 청도군의 노후 송원저수지 제방 유실, 경주시 평동 상수도 관로 파손 등 약 14억원 규모다.  사유시설 피해로는 성주군의 주택 4채 침수와 농경지·농작물 49.7ha 피해 등 약 4억원 규모이며 총 피해액은 약 18억원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철우 도지사는 "극한 호우속에서도 경북형 마을대피 시스템인 `마~어서 대피`가 통했다"며 "도와 시군에서 과할 정도로 선제적으로 대응함과 더불어 도민들께서 호우 시 위험지역에서 미리 대피해 주셔서 인명 피해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폭우 이후에도 관련 취약 지역 점검과 예찰 활동을 지속 시행해 재난으로부터 도민의 안전을 지키는 데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