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는 공공시설물에 사물주소를 부여해 시민의 안전과 생활 편의를 높이고 있다. 이 같은 조치는 공공시설물에 고유 주소를 부여해 정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응급상황에서의 대응력을 향상시키고, 시민의 생활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사물주소란 건물이 아닌 특정 시설물에 고유한 주소를 부여하는 제도로, 이를 통해 건물이 없는 곳이나 건물 내부의 특정 시설물까지 층수와 위치 등 상세한 공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긴급상황에서의 신속한 대응과 일상생활에서의 편의 제공에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영주역 앞의 무인민원발급기는 ‘선비로 64’와 같은 형식으로 표기돼 있어 보다 명확한 위치 전달이 가능하다.현재 영주시는 공중전화, 무더위쉼터, 비상소화장치, 주차장, 우체통, 버스정류장 등 총 474개소에 사물주소를 부여했으며, 이 중 211개소에는 사물주소판을 우선 설치했다. 나머지 시설물에도 순차적으로 주소판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러한 사물주소판은 공공시설물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시각적 안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버스정류장과 비상소화장치 같은 긴급 대응 시설에서는 정확한 위치 전달과 신속한 구조 요청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조종근 토지정보과장은 “주소정보는 일상생활에서의 편리함은 물론, 응급상황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앞으로도 시 어디에서도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주소 체계를 고도화해 나가는 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정휘영 기자jhy443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