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지역 고용보험 가입자는 지난해 12월 기준 11만872명으로 2020년 이후 연평균 1.5%씩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월 11만547명 대비로는 0.3% 증가한 수치다.    이는 구미상공회의소가 최근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보험 DB를 토대로 구미지역 고용동향 변화 추이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규모별로 보면 10인 이상 100인 미만 사업장 4만5171명, 10인 미만 사업장 2만8467명, 300인 이상 사업장 2만5059명으로 전년대비 증가한 반면 100인 이상 300인 미만 1만2175명으로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5만7477명 51.8%로 가장 높았으며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1만3896명 12.5%, 도매 및 소매업 5036명 4.5%, 사업시설 관리과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4860명 4.4% 등 순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지난 2020년 이후 꾸준히 증가, 2023년 5만8872명을 기록, 2024년 5만7477명으로 전년대비 1395명(-2.4%) 감소했다.  세부 업종을 살펴보면 전자부품이 1만6424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90명(-2.9%) 감소, 섬유제품이 2555명으로 474명(-15.6%), 전기장비가 4766명으로 405명(-7.8%) 각각 감소했다.  지난해 1~12월 구미지역 취업자는 4만8737명으로 전년 동기간 5만682명 대비 1945명(-3.8%) 감소했다.  전체 취업자 중 제조업 비중이 1만6537명 33.9%로 가장 많았고 이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9244명 19%, 숙박 및 음식점업 3576명 7.3%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4년 1~12월 구미지역 실업급여 지급자 수는 7만6259명으로 전년 동기간(7만5961명) 대비 약 298명(+0.4%) 증가, 실업급여 지급액도 약 1244억8900만원으로 전년 동기간(약 1192억9500만원) 대비 약 51억9400만원(+4.4%) 증가했다.  제조업의 경우, 실업급여 지급자 수는 2만8653명으로 전년 동기간(2만8763명) 대비 110명(-0.4%) 감소, 실업급여 지급액은 약 496억8500만원으로 전년 동기간(약 486억1100만원) 대비 약 10억7300만원(+2.2%) 증가했다.  지난해 실업급여를 지급한 사유로는 경영상 필요 및 회사불황으로 인원 감축 등에 의한 퇴사가 41%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계약만료·공사종료 34.7%, 회사사정 8.5% 순으로 나타났다.  심규정 경제조사팀장 겸 기업유치팀장은 "구미 지역 취업자 수가 전년대비 다소 주춤하고 있는 가운데 구미상공회의소에서는 구미시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고용활성화와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촘촘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시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의분 기자ub0104@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