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별다른 구직 활동 없이 `그냥 쉬는` 사람이 조사 이래 2번째로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는 역대 월별 조사 중 최대 규모다.  최근 경기침체로 주요 기업이 대규모 공채 선발 대신 수시채용으로 전환한 것과 젊은 층의 구직 의욕이 저하된 것이 `쉬었음` 인구가 늘어난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671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 5000명(0.1%) 증가했다.  이 중 `쉬었음` 인구는 267만3000명을 기록해 같은 기간 12만8000명 늘었다. 1월 쉬었음 인구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지난 2003년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많았다. 첫 번째는 코로나19 유행기인 지난 2021년 1월(271만5000명)이었다.  쉬었음이란 일할 능력이 있지만 병원 치료, 육아, 가사 등 구체적인 이유 없이 막연히 쉬고 싶어서 일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취업자·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된다.  1월 쉬었음 인구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가 32만6000명을 기록해 역대 30대 기준으로 가장 많았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2만3000명(7.4%) 증가했다. 사회에서 가장 활발히 일해야 하는 연령대에서 일을 쉰 인구가 많은 셈이다.  또 20대(39만 6000명)가 3만 7000명, 50대(43만 1000명)도 3만 3000명 늘었다.  60세 이상 쉬었음은 노인 인구 증가에 따라 119만 3000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4만 2000명 증가했다.  40대(29만 명)는 지난해 1월과 같았다. 쉬었음 인구가 전년 동월 대비 줄어든 세대는 10대(3만 8000명, 6000명 감소)가 유일했다.  최근 경기침체 등으로 주요 기업들이 대규모 공채 선발을 지양하고 수시채용으로 변화한 것이 쉬었음 인구 증가의 한 원인으로 꼽힌다.  통계청 관계자는 "과거에는 공무원 시험, 대기업 공채 등을 많이 진행했다면 최근에는 채용 형태가 수시 채용으로 바뀌고 있다"며 "취업을 위해 계속 준비하기보다는 일자리를 구하다가 잠시 쉬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보면 최근 청년층 인구가 줄고 있음에도 쉬었음 청년이 오히려 늘어난 것은 청년들의 구직 의욕 저하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년 실업자가 많은 경제는 생산성이 낮아 성장이 더딜 수밖에 없다. 청년 개개인으로서도 직업 경험 쌓기에 중요한 시기를 실업자 상태로 허비해서는 평생 취업 불안정에 시달릴 위험이 크다.  우리나라가 이런 사회로 고착화하기 전에 청년 고용을 구조적으로 늘리는 대책을 마련하는 데 지혜를 모아야 한다.  연공급 중심의 임금체계를 직무·성과급 중심으로 바꾸면 기업들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취업과 연계한 교육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