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12일 대구대 본관 스카이라운지에서 `경북 주도 지방시대에 부응하는 사회적경제 역할`을 주제로 `2023 사회적경제 활성화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사회적 경제주간을 맞아 사회적경제 로컬 브랜딩에 성공한 다양한 사례를 통해 경북이 주도하는 행복한 지방시대를 열고자 마련했다.
포럼에는 이달희 도 경제부지사, 박순진 대구대 총장, 박채아 도의원, 김재구 한국경영학회장, 강대성 대한사회복지회장 등 학계·관련 전문가, 사회적기업가 100여명이 참석했다.
포럼 행사는 △지역소멸과 로컬리즘 △로컬 아이덴티티의 재해석 △경북 로컬 브랜딩을 통한 사회적가치 실현에 대한 사례발표 후 참여 패널 토론으로 진행됐다.
`지역소멸과 로컬리즘`의 발제자인 전영수 한양대 글로벌사회적경제학과 교수는 지역의 시민조직, 공공과 영리의 중간지대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사회적경제조직 및 협력조직의 육성·지속 성장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로컬아이덴티티의 재해석`이라는 주제로 박승현 대표(주식회사 공존공간)가 도심 공동체 형성과 일자리 창출 등 공간기획·브랜딩 콘텐츠 생산에 대해 수원시 행궁동 사례를 발표했다.
이민주 대표(주식회사 명주정원)는 라이프 스타일 기반 크리에이터의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는 복합 문화공간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과의 소통을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이라는 주제로 사례발표를 했다.
특히 이날 포럼에서는 자발적 협력과 상호 원조, 민주적이고 참여적인 지배구조, 자율성과 독립성 원칙에 기반을 두는 사회적경제가 지역사회를 살리고 지속 가능한 지방시대를 열기 위해 필수적이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