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는 지난 19일 시청에서 `생활·밥상물가 안정 범시민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손정호 일자리경제국장 주재로 진행된 이번 회의는 지난 11일 정부의 `제5차 비상경제민생회`의 방향에 따라 생활물가 및 민생 경제 안정화를 견인하기 위한 포항시의 신속한 대응으로 이뤄졌다.
최근 3고(고금리·고물가·고환율)로 고통받고 있는 소비자와 소상공인을 위한 긴급 대응 방안과 민·관 경제 주체들의 상호협력의 필요성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회의에서는 대내외 경제여건의 급속한 악화에 따른 장바구니 물가, 외식비 상승 등 서민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 안정 대책을 마련하고 원재료값 인상에 따른 소상공인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물가 안정 대책을 범시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의견을 나눴다.
먼저 △원재료비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위해 24억원의 `원재료비 구입 특례보증 외 이차보전금`으로 5000만원 한도 내에서 1년간 2%의 이자 차액을 보전하고 △`물가 안정 고용장려금` 10억원을 투입해 원재료비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규모 사업체에 1인당 최대 50만원(업소당 2인)까지 인건비를 지원해 물가 인상을 방지한다.
아울러 △1억원의 예산으로 품목별 평균가격 미만으로 영업하는 업소에 125만원을 지원하는 `착한가격업소 제도`를 최대 200개까지 확대하며 △농·축·수협과 협의를 통한 물량 확보 및 적기 공급,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농특산물 직거래 확대, 사료구매자금 지원 및 조사료 생산장비 지원 확대 등 `농축수산물의 원활한 공급`을 통한 물가 안정에 기여할 방침이다.
또한 △상하수도 요금, 시내버스·택시비 및 쓰레기봉투 가격을 비롯한 `지방공공요금 동결` 등 포항시가 가진 모든 가용수단을 총 동원해 서민물가 안정을 위해 매진할 방침이다.
뿐만 아니라 동네 단위 로컬유통채널 구축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7억원 확보, 총사업비 8억8000만원으로 동네단위 모델점포 거점 온라인 쇼핑몰을 개설하고 온·온프라인으로 지역 생산자단체와 협업해 지역 내 우수 농축수산물 가공제품을 제공하는 등 소상공인과 지역 생산자가 윈윈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김희동 기자press8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