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녀들이 광복절 77주년을 맞아 18일 독도를 방문했다.
경북도는 독도 바다를 이용했던 제주해녀의 독도 개척사를 살펴보고 관련 내용을 수집·정리해 독도 영토주권 강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
이번에 독도를 방문한 해녀들 중에는 과거 독도에서 실제 물질을 했던 김공자씨 등 해녀 4명도 함께 있어 그 의미를 더했다.
일제강점기 제주해녀들은 일제의 부당한 착취를 피하고자 육지로 그 활동 영역을 넓혔는데 `독도` 바다 역시 제주해녀의 무대였다.
미역, 전복, 소라, 해삼 등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활발한 어로활동을 펼쳤다.
초기에는 주로 제주 한림지역 해녀들이 독도 물질을 갔는데 한림읍 협재리 마을회관에는 지난 1956년 건립된 `울릉도 출어부인 기념비`가 남아 이를 증명해주고 있다.
광복 후 수시로 순시선을 보내 독도에 대한 검은 속내를 드러냈던 일본에 맞서 독도의용수비대는 독도 사수를 위한 자체 경비를 마련코자 재주 해녀들을 모집했다.
독도 서도 물골에서 가마니를 이용해 임시 숙소로 삼고 수십명이 들어가 2∼3개월씩 거주하면서 미역을 채취하고 널어 말렸다.
오랜 세월 독도의 바다에서 생업을 잇고 자연을 벗 삼았던 제주해녀들은 우리 땅 독도의 산증인이다.
한편 독도 방문 하루 전날 울릉도로 들어가기 위해 포항을 찾은 제주해녀들은 포항 구룡포어촌계 사무실에서 경북해녀들과 만나 환담을 나누며 해녀문화 보전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해 함께 논의했다.
이날 라한호텔에선 경북도와 제주도 간 `해양인문 교류 및 섬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식`이 이뤄졌으며 해양생태자원의 보존 및 지속가능한 사용을 위해 양 도가 미래지향적 발전을 도모하고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약속했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