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12일 오후 홍준표 시장 주재로 고물가 및 폭염 대응 시민생활 안정 점검회의를 개최해 지역경제 동향과 시민 생활여건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는 동시에 경제부시장을 단장으로 유관기관(상공회의소, 무역협회 등) 및 민간이 참여하는 점검반을 구성해 신속한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지난 5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108.22)는 전년 동월 대비 6.0% 상승해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지역물가도 지난 6월 전국평균보다 높은 6.1%를 기록했으며 농축수산물 4.1%, 전기·수도·가스 10.0% 등 시민 일상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도 급등해 시민들의 부담이 가중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35℃를 웃도는 이른 폭염에 공사장 야외 근로자 및 독거노인, 쪽방생활인·노숙인 등 취약계층의 어려움은 보다 클 것으로 보여 물가안정화와 긴급 위기관리 지원이 절실히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대구시는 시장 주재 첫 회의를 개최한다.  이날 회의를 통해 현재 국제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물가 급등이 시민 생활여건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2022년 폭염종합대책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지속적인 상황점검 등을 위한 점검반(경제부시장 단장)을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민생물가 안정 등을 위해 가용한 정책수단을 총 동원해 공공부문부터 앞장서 나간다. 시내버스·도시철도·쓰레기봉투 요금 등 공공요금은 최대한 동결하거나 불가피하게 인상할 경우에도 그 인상 폭을 최소화하며 주요 생필품 물가 모니터링 강화 및 물가인상 억제 계도 활동 등을 통해 민간에서도 서비스 요금 안정화에 동참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대구시 지원 및 대정부 건의사항을 발굴하고 시민 불편이 큰 분야에 대해서는 필요시 합동 현장점검반을 꾸려 신속히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더불어 회의에 참석한 기관 및 민간업계에 대해서도 가격 인상 시기 및 인상 폭 조정과 고물가·폭염의 이중고 속에서 소외되고 힘들어하는 근로자들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요청할 계획이다.  이명열 기자rositante@kakao.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