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화재는 현대 생활에서 점점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효율적이지만 잘못 사용하거나 관리가 소홀할 경우 폭발이나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스마트폰, 전동킥보드, 전기차 등 다양한 기기에 사용되는 만큼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다. 따라서 예방 습관과 대처법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정품 배터리와 인증된 충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기본이다. 값싼 비정품은 보호회로가 미흡해 발열, 팽창, 폭발 위험이 높다. 충전 중에는 주변 가연성 물질을 치우고 통풍이 잘되는 단단한 표면 위에서 충전해야 한다. 이불이나 소파 위 충전은 열이 축적돼 화재로 이어질 수 있어 피해야 한다.  충전 시간 역시 중요하다. 잠자는 동안 장시간 충전하는 습관은 위험을 높인다. 가능하면 낮 시간 사용자가 주변에 있을 때 충전하도록 하며 충전 중에는 기기에서 이상 징후가 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다. 배터리에서 열이 심하게 나거나 배가 부풀어 오르거나 색이 변색되는 등의 현상이 보이면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안전한 장소에 보관해야 한다.  기기를 떨어뜨리거나 충격을 가했을 경우에도 내부 배터리에 손상이 갈 수 있다. 특히 전동킥보드나 전기자전거처럼 외부 충격에 자주 노출되는 기기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배터리 상태를 꼼꼼히 살펴보아야 한다. 장시간 사용한 배터리는 성능이 저하되며 발열 위험이 커지므로,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는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연기나 불꽃이 발생하면 가장 먼저 인명 대피를 해야 한다. 배터리 화재는 유독가스와 고열을 동반해 연쇄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무리한 진화 시도는 금물이다. 주변 사람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키고 문을 닫아 연기 확산을 막는다. 연기가 심할 경우 낮은 자세로 젖은 수건으로 입과 코를 막고 대피해야 하며 다세대 주택이나 건물에서는 비상구 위치를 미리 숙지해야 한다.  초기 화재의 경우 적절한 소화기를 사용하면 진화를 시도할 수 있다. ABC 분말소화기나 이산화탄소 소화기가 적합하며 물을 사용하는 것은 금물이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물과 반응해 더 큰 폭발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물 소화는 오히려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소화기로도 진화가 어려운 경우 즉시 119에 신고해 소방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배터리 화재는 대부분 사용자의 부주의나 관리 소홀로 발생한다. 일상에서 기본적인 안전 수칙만 잘 지켜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사고다. 정품 사용, 적절한 충전 환경 유지, 주기적인 점검, 이상 징후 인지 등이 그 핵심이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침착하게 대처하고 신속히 대피하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배터리는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위험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항상 인식하고 안전한 사용 습관을 실천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