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희(사진) 국회의원은 보이스피싱 범죄가 날로 지능화되는 가운데 농협 상호금융의 미흡한 대응 체계가 지역 농·축협을 `보이스피싱 사각지대`로 방치하면서 전 연령대에 걸쳐 피해를 확산시키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이만희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전국 보이스피싱 발생 현황은 2019년 3만7667건, 피해액 6398억원에서 지난해 총 1만8902건, 피해액 4472억원으로 2019년 대비 1.4배가량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농협 상호금융의 피해는 오히려 증가 추세를 보였다.
지난 2022년 농협 상호금융의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약 281억원이었으나 2023년에는 약 421억원으로 전년대비 1.5배 가량 증가했다. 특히 40·50대의 피해가 두드러졌고 60대 이상 고령층의 피해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심지어 20·30대의 피해 건수와 금액도 전년 대비 2배 이상 급증하며 전 연령대에 걸쳐 `빨간불`이 켜졌다.
아울러 농협 상호금융 지역별 보이스피싱 발생 현황을 보면 경기 지역의 피해 건수가 216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북(908건), 경남(890건)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농축협 개소별 평균 피해액은 서울이 약 54억13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대전(약 47억6000만원), 경기(약 39억6800만원) 순으로 나타나 도시 지역에 위치한 농협회원조합의 피해가 더 큰 것으로 확인했다.
이에 이만희 의원은 농협 상호금융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의 인력 부족, 비정규직 위주의 운영 등으로 인해 구조적인 한계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모니터링팀 활용과 관련해 농협은행을 포함한 5대 시중은행은 평균 783개의 지점을 운영하며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 평균 13.8명의 모니터링 직원을 배치하고 있다. 반면 농협 상호금융은 4700여개에 달하는 단위조합을 단 10명의 직원으로만 관리하고 있으며 이마저도 대부분 2년 미만 경력의 비정규직 직원들로 시중은행의 3~5년 이상 경력의 모니터링팀과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이만희 의원은 "농협 상호금융은 보이스피싱 예방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해 전 연령대의 고객을 범죄에 무방비로 노출시키고 있다"고 지적하며 "예산 확보를 통한 인력 충원, 정규직화를 통한 숙련도 향상, 시스템 개선, 교육 강화 등 구체적인 방안 등을 시급히 마련해 보이스피싱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는 적극 대응을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김병열 기자artmong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