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유(儒), 불(佛), 도(道) 삼종교가 사상과 생활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 남북종론과 도(道)교 사상은 공공의 윤리적 기반과 학문 체계의 바탕 그리고 의식 형성에 근간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불교의 철학과 사상체계를 근간으로 하는 동기창(1555~1636년)의 학문과 사상, 미술사적 비평을 통해서 주관적인 견해를 보인다.  여러 미술 영역에서 문인화가 최고의 위치에 서게 된 후 차별화된 인식과 명대 봉건 계급사회에서 사대부 사회의 누적된 자존감에도 영향을 끼쳤다. 또한 고대 선인 사대부의 작품이 후대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 있는 미술사의 한 부분을 차지한 명대 말 예술의 흐름이기도 했다.  남종화의 정신을 알려준 왕유(王維, 699~759년)와 송대 동원, 미불, 마원, 하규를 비롯해 원대 황공망, 왕몽, 오진, 예찬 사대가와 명대 절파인 심주, 문징명 등이 문인화가들의 역사적인 발자취를 보여준다.  문인화에서 선인의 작품을 감상·학습하고 그 장점을 살려 기법을 재창조해 독자적인 문화가 정신을 지향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명대의 성숙된 사군자의 기법을 통해서 창의적인 자연과 어우러진 내적 미의식이 반영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