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28일 `팔공산 관통 고속도로` 사업에 대한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고속도로 사업 타당성 있음`으로 발표했다. 대구시는 사전타당성 연구용역을 통해 올해 4월부터 대안 노선선정, 사업방식 검토, 경제성 분석 등을 진행했고 국내 굴지의 용역사에서 분석한 결과로 공신력과 대외적 신뢰도를 확보했다.
사업구간은 동대구 분기점(JC)에서 동군위 분기점(JC)까지이며 4차로, 연장 25km, 나들목(IC) 2개소(부동, 공산), 분기점(JC) 2개소(평광, 동군위), 터널 4개소(총 17km, 장대 12km)로 총사업비는 1조8500억원이다.
국가교통DB 대구광역권 자료를 활용했고 국토부에서 발표한 신공항 교통 예측수요(여객 1226만명, 화물 21만8000t)와 지난달 17일에 발표한 K-2 후적지 개발사업(계획인구 15만명)을 포함해 수요를 예측했다.
교통수요 예측은 하루 5만294대로 사업 수요는 충분할 것으로 예상되며 팔공산 관통 고속도로가 완공돼도 중앙고속도로의 수요는 하루 6만7021대(현재 5만7341)이고 경부고속도로는 하루 15만3835대(현재 14만3239)로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돼 팔공산 관통 고속도로 건설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 결과는 비용편익비(B/C) 1.29이며 순현재가치(NVP) 4841억원, 내부수익율(IRR) 6.96%로서 연간 1817억원의 편익(공항+종전부지)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본 결과에는 군위군 개발 예정지인 공항신도시, 첨단산업단지, 공무원 연수시설 등에 대해서는 개발계획 수립 중인 관계로 교통수요가 미반영돼 향후 사업의 수요는 한층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동남권 시민들이 신공항을 이용할 경우 거리 13km, 시간 15분 이상이 단축되고 서울↔부산 방면 이용자는 거리 10km, 시간 13분 이상 단축돼 신공항 및 수도권 접근성 향상과 군위 발전에 핵심축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한다.
대구시는 민간사업자를 대상으로 본 사업의 참여를 타진하고 민간제안자가 민간투자사업에 대한 `사업성 분석`을 통해 내년 국토부에 민간 제안을 신청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홍준표 시장은 "팔공산 관통 고속도로의 경제성 분석 결과 `타당성 있음`으로 나타나 사업에 참여하려는 민간사업자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신공항 개항 시기에 맞춰 사업이 완공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두용 기자kwondrumkakao@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