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에게 중요한 것은 먹고 사는 문제다. 이 문제에 큰 영향을 끼치는 소비자물가의 상승이 무섭다.  대구의 소비자물가가 14년 만에, 경북은 24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해 서민경제를 흔들고 있다.  5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6월 대구·경북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대구지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08.33(2020년 100)으로 지난해 같은달보다 6.1% 올랐다.  미국발 금융위기가 몰아쳤던 2008년 8월(6.2%) 이후 13년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생활물가지수와 신선식품지수도 지난해 같은달 대비 각각 7.5%, 2.6% 상승했다.  지출목적별로는 교통(18.8%), 음식·숙박(7.5%), 식료품·비주류음료(6.2%), 주택·수도·전기·연료(4.3%), 기타 상품·서비스(6.3%), 가정용품·가사서비스(5.9%), 교육(2.7%), 오락·문화(3.3%), 의류·신발(3.0%), 보건(0.6%), 통신(1.0%), 주류·담배(2.4%) 등 줄줄이 상승세를 보였다.  경북지역의 소비자물가지수도 1년전보다 7.2% 오른 109.58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가 닥친 1998년 5월(7.4%) 이후 24년2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달 대비 8.5% 상승했다.  교통(21.2%), 주택·수도·전기·연료(8.7%), 기타 상품·서비스(5.9%), 오락·문화(3.7%) 등 모든 부문에서 상승세를 보였다.  월간 소비자물가 상승 추이를 보면 대구는 지난달 5.6%로 5%대에 첫 진입한 이후 한달 만에 6%대, 경북은 지난 4월 5%대(5.8%)에서 5월 6%대(6.4%), 6월 7%대로 무섭게 뛰었다.  물론 이러한 물가 상승은 대구·경북만의 현상은 아니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국제적인 현상이다.  미국과 중국의 대립이 이어지는 가운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물가 상승을 부추겼다.  석유류 가격이 급등하면서 전기·가스·수도 요금도 크게 올랐다. 거기에 더해 외식, 개인 서비스 등 생활 물가가 크게 오른 것이다.  문제는 특별한 대응 방안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 등 대외요인이 안정될 조짐이 없어 이러한 큰 폭의 오름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었지만 특별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고 정부가 손을 놓고 국제정세가 좋아지기만을 기다린다면 너무 무책임하다.  더욱이 정권교체기에 서로 내 일이 아니라며 외면한다면 그 피해는 모두 서민이 오롯이 져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급하지 않은 `돈풀기`는 자제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원유, 가스 등 에너지 수급과 기초 식량 확보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만에 하나 원자재 가격이 치솟고 있는 판에 사재기 등이 빚어지면 이는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올 수 있다.  그렇다고 강제적이고 강압적인 시장 개입은 신중해야 한다. 선거를 의식해 미루어온 전력 요금 문제를 보면 정부의 지나친 개입이 불편한 상황을 만들 수 있음을 충분히 보여 주었다.  중요한 것은 국민이 살기 좋은 나라를 만드는 것이다. 그 길의 기본이 소비자물가의 상승을 잡는 길임을 정부는 잊지 말아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