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민선 8기 출범을 위한 첫 조직개편을 오는 13일 개원예정된 제294회 임시회에서 `대구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개정을 통한 시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이번달 중 시행할 예정이다.
이번 개편은 지난 6월 27일 대구시장직인수위원회에서 발표한 조직개편안에 대한 세부 실행 작업을 최종 완료한 것으로 `대국대과(大局大課)` 원칙에 입각해 유사·중복 조직을 통·폐합하고 부서 간 칸막이를 제거해 상호협력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작고 효율적인 조직으로 재편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대구시는 조직개편을 통해 시정혁신단 등 시장 직속기관과 혁신성장실, 미래ICT국 및 감사위원회 등을 신설하고 경제국-일자리투자국 및 시민안전실-시민건강국의 통합, 건설본부, 시설안전관리사업소 등 14개 사업소를 대상으로 하는 통·폐합을 추진한다.
개편 결과 대구시 조직은 본청 2실·12국·3본부·90과에서 3국·1본부·4과가 줄어든 3실·9국·2본부·86과로 사업소는 19개 사업소에서 11개 사업소가 대폭 감소해 8개 사업소 체제를 갖추게 된다.
각 부서의 하부조직과 인력은 신설 부서에 한해 필수 인력 위주로 보강했고 부서 간 기능조정에 따른 인력은 상호 이체를 원칙으로 해 총 정원은 6480명에서 2명 감소한 6478명으로 조정됐다.
신설되는 시정혁신단과 정책총괄단에서는 공직사회 혁신과 미래 50년 먹거리 발굴을 책임지고 재정점검단을 설치해 낭비성 예산을 줄여 재정건전성을 강화한다.
또 일자리투자국을 폐지해 경제국으로 통합 후 경제·일자리 분야의 업무연계와 조직 효율성을 높이고 경제정책관, 일자리노동정책과, 민생경제과, 산단진흥과, 창업진흥과, 섬유패션과, 국제통상과, 농산유통과를 배치한다.
신설되는 미래ICT국에서는 AI, Bigdata, Blockchain 산업 집중 육성, 첨단기술 중심의 유망 기업유치 및 AI-블록체인 혁신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기존 스마트시티과와 데이터통계담당관을 디지털정책 총괄 기능 강화 및 데이터산업 육성 추진을 위해 미래ICT국으로 편제하고 각각 디지털혁신전략과, 빅데이터과로 명칭을 변경한다.
통합신공항건설본부는 통합신공항 조기 건설 및 후적지 개발을 위해 공항정책과의 특별법 제·개정 및 관련 정책협의 기능을 강화하고 기존 이전사업과는 신공항건설과로 명칭을 변경해 공항산단 조성, 에어시티 건설 등의 기능을 보강한다.
녹색환경국은 환경수자원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물 환경 정책과 취수원 확보를 중점 추진하고 기존 취수원다변화추진단을 맑은물정책과로 확대·보강해 맑은 물 식수 확보 및 물 환경과 물 산업의 일원화를 전담한다.
시민건강국을 시민안전실로 통합해 감염병 대응과 사회재난 업무를 연계시켜 대시민 안전체계를 일원화하고 공공보건의료 컨트롤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보건의료정책과(4급)를 보건의료정책관(3·4급)으로 확대 보강한다.
감사 기능 강화를 위해 기존 감사관을 독립된 합의제행정기관인 감사위원회로 변경하고 위원장을 개방형(3·4급)으로 임명하는 등 자체 감사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대폭 강화한다.
대구·경북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을 추진하는 대구경북광역행정기획단 사무국은 폐지 후 광역협력담당관을 신설해 기획조정실로 배치하고 초광역 협력사업 및 타 시·도 교류 협력사업 등을 추진한다.
대변인과 홍보브랜드담당관은 공보담당관으로 통합해 보도-홍보의 일원화된 체계를 구축한다. 또 도시재생과를 도시정비과로 통·폐합해 개발정책이 공공주도에서 민간주도로 변화되는 추세를 반영한다는 등이다.
이명열 기자rositante@kakao.com